저자(한글) |
Wang, Zhenxia,Wei, Hong,Lv, Qian,Li, Changxiao,Zhou, Jun,Gao, Wei,Chen, Wei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1년생 중국굴피나무(Pterocarya stenoptera)의 유묘를 실험재료로 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싼샤 저수지지역(Three Gorges Reservoir Region) 내 수위변동 영역(water-level fluctuating zone)의 토양 수분이 중국굴피나무 유묘의 광합성 파라미터, 광합성 색소(photosynthetic pigment) 함량, 엽록소 형광 특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실험군은 대조군(Control group, CK), 건조군(Mild drought group, DR), 침수군(Flooded group, FL), 습윤-건조 교체군(Wet-dry alternating group, FD) 등 4개 처리군으로 나뉘었으며, 전체 실험기간을 전기(0-33일), 중기(34-63일), 후기(64-78일)로 나뉘었다. 연구 결과, 수분 처리는 중국굴피나무 유묘의 기체 교환, 광합성 색소 함량, 수분 이용율 등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으나, 중국굴피나무 유묘의 엽록소 형광 특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78일에, 세포간 CO 2 농도, 엽록소a/엽록소b, 광화학적 소멸(photochemical quenching), 비광화학적 소멸(non-photochemical quenching)을 제외한 침수군의 각 지표는 4개 처리군에서 가장 낮았다. 습윤-건조 교체군의 순광합성률(net photosynthetic rate), 증산 속도(transpiration rate), 기공 전도도(stomatal conductance), 총 엽록소 함량은 감소하였는데, 재수화 처리(rehydration) 후 다시 증가 추세를 보였다. 건조군의 변화 추세는 습윤-건조 교체군과 비슷하였으나, 변화 폭은 습윤-건조 교체군에 비해 작았다. 연구 결과, 중국굴피나무 유묘는 수분 조건에 민감하였다. 그러나 수분 스트레스 시간의 증가와 더불어 중국굴피나무 유묘는 광합성, 수분 이용, 엽록소 형광 특성에 적극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건조, 침수, ''습윤-건조'' 교체 등 환경 스트레스에 강한 적응성을 나타냈다. 침수 처리는 싼샤 저수지지역 수위변동 영역내 식생의 복원에 적용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