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ang, Zhiwei,Mou, Siwei,Yan, Lili,Han, Qingfang,Yang, Baoping |
초록 |
'리왕(Liwang)18' 옥수수 홑트기씨(single cross hybrid)를 테스트 재료로 하여 분재 실험을 진행하며 충분한 공급 수분(CK), 경도(light level) 수분 스트레스(mild water stress, LS), 중간 정도 수분 스트레스(moderate water stress, MS)와 중도 수분 스트레스(severe water stress, SS) 등 4가지 수분 처리 수준을 설정하여 수분 스트레스가 봄 옥수수 실제 생장기(실생기)의 보호 효소 활성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토양 내 수분 스트레스가 옥수수 실생기의 성장 발육과 그 생리적 과정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을 토의하였다. 그 결과, (1) 수분 스트레스 정도가 심해지면서 옥수수 유묘(seedling)의 바이오매스는 뚜렷이 감소하였고 근관 비율, 근계 활성과 프롤린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또 수분 스트레스가 옥수수 유묘의 지상부 바이오매스에 대한 억제 작용은 더 심해졌고 수용성 단백질 함량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으나 MDA 함량 변화는 파동적으로 변화하였다. (2) 수분 스트레스를 받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근관 비율, 근계 활성과 식물의 프롤린의 함량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으며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 옥수수 유묘 잎몸과 근계의 MDA 축적은 파동적으로 변화하였고 잎몸 MDA 함량은 줄곧 근계의 함량보다 높았다. (3) 수분 스트레스 초기, 옥수수 잎몸 중의 CAT 활성은 SOD, POD 응답보다 민감하였다. 또 옥수수 실생기에 근계는 중간 정도 수분 스트레스 조건에서 CAT에 의존하여 산화적인 피해를 감소시켰으며 중도 수분 스트레스를 받는 전기에는 주로 CAT에, 후기에는 CAT와 POD의 공동 작용으로 산화적인 손상을 감소하였다. 수분 스트레스 조건에서 잎몸과 근계 POD는 함께 산화적 손상을 감소하였으며 SOD와 CAT에는 잎몸과 근계에서 상호 작용이 존재하였다. 연구를 거쳐, 서로 다른 정도의 수분 스트레스 조건에서, 옥수수 유묘의 성장은 일정한 정도의 억제를 받지만, 자신의 보호 효소 활성과 삼투압 조절 물질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가뭄 손상을 감소하여 식물의 정상적 생리적 기능 및 신진대사 기능을 유지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