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hanges of Physiological Responses of Phyllostachysedulis to Atmospheric Ozone Stres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西北植物學報 = Acta botanica boreali-occidentalia sinica
ISSN 1000-402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uang, Minghao,Chen, Shuanglin,Li, Yingchun,Guo, Ziwu,Yang, Qingping,Deng, Zongf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1년생 죽순 분재(potted plant) 묘목을 재료로 하고, 오픈 탑 챔버(open-top chamber, OTCs)를 이용하여 대기환경기(atmosphere)의 오존 O 3 농도(AA, 40~45nL/L)과 고 O 3 농도(EO, 92~106nL/L)인 상태로 수치모사한 후, 죽순 잎몸의 광합성 생리학, 막 지질 과산화 및 항산화 효소 등 주요 생리 지표의 변화를 분석하여 기후 변화 배경에서 죽순 재배 대처 전략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그 결과, (1) EO와 AA를 비교했을 때, 같은 시간을 처리한 죽순 잎몸의 O 3 플럭스(flux)는 모두 뚜렷이 증가하였으며 처리한 잎몸의 O 3 플럭스는 모두 처리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 EO와 AA를 비교했을 때, 광합성 속도(Pn), 기공 유통성(Gs)과 수용성 당의 함량은 모두 뚜렷이 감소하였으며 잎몸의 엽록소(Chl) 함량, 세포 내 CO 2 농도(Ci)의 감소는 각각 EO 처리한 지 60일과 92일이 될 때 나타났으며 수용성 단백질은 60일 처리한 후 뚜렷이 증가하였다. 처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EO의 잎몸 Pn, Ci, Chl 함량은 모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수용성 당과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 Pn 감소는 기공 제한 요인에 의하여 초래되었다. (3) 슈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 O 2 . - ] 함량,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 MDA) 함량, 상대적 전기 전도율은 각각 29일, 60일, 60일 처리하였을 때 뚜렷이 증가하였으며 처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4)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스(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은 고농도 O 3 으로 60일 처리하였을 때, 뚜렷이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으며 POD(peroxidase) 활성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SOD와 POD 활성은 모두 처리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연구 결과, 죽순이 대기 중의 O 3 스트레스에 대하여 단시간의 생리적 및 생화학적 적응성을 가지지만 장기적 스트레스는 죽순에 심각한 과산화 손상을 주어 죽순의 정상적인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35750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hyllostachysedulis,ozone,photosynthesis,membrane lipid peroxidation,anti-oxidation enzyme,죽순,오존,광합성 생리,막 지질 과산화,항산화 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