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HSP70 gene expression response of four strains of tilapia to salt stress in different tissue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上海海洋大學學報 = Journal of Shanghai Ocean University
ISSN 1674-556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Zhi-gang,LIU, Yu-jiao,LU, Mai-xin,ZHU, Hua-ping,KE, Xiao-li,GAO, Feng-ying,CAO, Jian-meng,WANG, Mia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분자 수준에서 모잠비크 틸라피아, O. hornorum(Oreochromis hornorum) 및 그 정교배(모잠비크 틸라피아♀×O. hornorum ♂)와 역교배(O. hornorum ♀×모잠비크 틸라피아 ♂) 1세대의 내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RT-PCR법을 이용하여 염 스트레스를 받은 이 4가지 틸라피아의 각종 조직(아가미, 신장, 뇌하수체 및 근육)에서 열충격 단백질 70(HSP70) 유전자의 발현 특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염도가 22인 스트레스 조건에서 4가지 틸라피아 각 조직 내 HSP70의 발현 수준은 전반적으로 먼저 증가하다가 후에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24h일 경우 최대치에 도달하였다가 48h일 경우 초기 수준으로 되돌아왔다. 염도를 35까지 증가한 뒤 HSP70의 발현은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다양한 종류의 틸라피아 및 다양한 조직 사이에는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역교배 1세대의 아가미에서 HSP70의 발현은 전반 염 스트레스 과정에서 모두 상향 조절되지 않았다. 염도가 22인 스트레스 조건에서, 정교배 및 역교배 1세대의 신장 내 HSP70 유전자 발현량은 모본 신장 내의 HSP70보다 더 먼저 피크값에 도달하였다. 역교배 1세대의 뇌하수체 내 HSP70의 발현량은 0~48h 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48h일 경우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모잠비크 틸라피아의 근육 내 HSP70 유전자의 발현량은 염도가 22인 스트레스 조건에서 신속하게 증가하였으며 또한 염도가 35인 스트레스 조건에서도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결론적으로, HSP70 발현 수준의 높고 낮음은 틸라피아의 내염성 및 스트레스 정도와 밀접한 상관성이 있다. 특히 염 스트레스 조건에서 신장 내 HSP70의 발현 특성은 4가지 틸라피아 품종의 내염성과 비교적 강한 상관성이 있으므로 4가지 틸라피아의 내염성을 평가하는 잠재적 분자 지표로 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35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Oreochromis mossambicus,Oreochromis hornorum,cross hybrid,reciprocal cross hybrid,salt stress,HSP70 gene,모잠비크 틸라피아,O. hornorum,정교배 1세대,역교배 1세대,염 스트레스,HSP70 유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