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ble Isotopes of Ore Bodies in the Pacitan Mineralized District, Indonesia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ISSN | 1225-7281, |
ISBN |
저자(한글) | Han, Jin-Kyun,Choi, Sang-Hoo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인도네시아 동부 자바의 남서익부에 위치하는 파찌딴 광화대 금속광화작용은 스카른형 교대광체와 열극을 충진 발달하는 열수 맥상광체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스카른 형 교대광체는 올리고신 후기 퇴적암류 중 석회암층을 따라 관계화성암체인 석영반암 주변에 발달한다. 본 광체는 스카른광물과 함께 자철석 및 천금속 황화광물이 수반된다. 열수광체로는 관계화성암체인 석영반암으로 부터의 거리를 기준으로 근지성 함 동-아연 망상광체와 원지성 함 연-아연(-금) 맥상광체가 발달 분포한다. 황화광물의 황 동위원소 값으로부터 계산된 $H_2S$ 의 황 동위원소 값은 스카른광체의 경우 5.6-7.1 permil;, 열수광체의 경우 0.9-6.8 permil; 이었다. 이는 원지성 열수 맥상 광체의 후기 광화작용으로 진행하면서 파찌딴 열수계 내 $SO_4/H_2S$ 의 비가 증가하면서 $H_2S$ 의 황동위원소 값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된다. 광화대 내 산소 동위원소 값은 스카른 광체 내 자철석, 9.6과 9.7 permil;; 스카른 광체 내 석영, 6.3-9.6 permil;; 스카른 광체 내 방해석, 4.7 and 5.8 permil;; 열수 망상광체 내 석영, 3.0-7.7 permil;; 열수 망상광체 내 방해석, 1.2 and 2.0 permil;; 열수 맥상광체 내 석영, -3.9 - 6.7 permil;로서, 계산된 ${ delta}^{18}O_{water}$ 값은 근지성 스카른 및 열수 망상광체에서 원지성 열수 맥상광체에 이르면서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열수계 ${ delta}D_{water}$ 값은 광체 유형에 관계없이 -65 to -88 permil;의 값을 보여준다. 이러한 산소 수소 안정동위원소 값의 경향성은 근지성 스카른 및 열수 망상광체 초기 광화작용을 지배한 마그마 기원의 열수 또는 상대적으로 낮은 water/rock 비 값을 갖는 환경하에서 동위원소 교환반응을 이루어 평형상태에 이른 열수가 풍부한 파찌딴 열수계 내에 광화작용의 진행 및 관계화성암과의 거리에 따라 높은 water/rock 비 값을 갖는 환경하에서 동위원소 교환반응을 이루어 진 열수 또는 동위원소 교환반응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천수의 유입이 점증하며 광화작용이 진행되었음을 의미 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509057413656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동-아연-연-금,스카른,열수,망상광체,맥상광체,안정동위원소,파찌딴 광화대,인도네시아,Cu-Zn-Pb-Au,skarn,hydrothermal,stockwork,vein,stable isotopes,Pacitan mineralized district,Indones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