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극성을 띠고있어 응집되는 성향이 카본블랙에 비해 강한 실리카의 분산도는 고무 복합소재의 물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Wolff는 입자간 상호계수( ${ alpha}_F$ )를 도입하여 충전제간의 구조발달을 최초로 표현하였다. 하지만, 양기능성 실란의 도입에 따라 형성되는 3차원 구조발달은 표현할 수 없었다. 후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Wolff의 표현은 복합소재 내 ${ alpha}_F$ 를 포함하는 구조발달 상호계수 ${ alpha}_C$ 로 확장되어 표현되었지만, 실험적으로 이 표현을 증명한 연구는 없었다. 이 논문은 구조발달 상호계수인 ${ alpha}_C$ 를 ${ alpha}_F$ (실리카-실리카간 구조발달 상호계수), ${ alpha}_{FP}$ (실리카-실란-고무간 구조발달 상호계수), ${ alpha}_P$ (고무-고무간 구조발달 상호계수)로 고려하여 단기능성 및 양기능성 실란으로 처리된 실리카가 함유된 복합소재를 실험에 의해 최초로 표현하였다. 구조가 다른 실란들(PTES, OTES, TESPD, TESPT)을 이용하여 구조발달 상호계수 ${ alpha}_C$ 를 구성하는 ${ alpha}_F$ , ${ alpha}_{FP}$ , ${ alpha}_P$ 의 수치들을 측정하고 계산하였다. TESPT가 첨가된 복합소재의 ${ alpha}_C$ 의 값은 1.64이며, 이를 구성하고 있는 ${ alpha}_F$ , ${ alpha}_{FP}$ , ${ alpha}_P$ 는 각각 0.99, 0.31, 0.34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