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Inhibitory Compounds from Morus alba cv. Kuksang on #x03B1;-amylase and #x03B1;-glucosidas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ISSN 1225-9918,2287-340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hoi, Moo-Young,Cho, Young-Je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109종의 뽕잎 종류 중 국상 품종 뽕잎으로부터 #x3B1;-amylase와 #x3B1;-glucosidase 저해작용을 가지는 페놀성화합물을 분리하여 저해활성을 검토하였다. 국상 뽕잎의 물추출물에서 #x3B1;-amylase와 #x3B1;-glucosidase 저해 활성이 각각 93.8%와 48.7%를 나타내었다. 국상뽕잎 추출물의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물 추출물에서 9.7 #xB1;0.2 mg/g, 60% ethanol 추출물에서 14.3 #xB1;0.2 mg/g으로 나타났으며, 국상뽕잎 물 추출물 200 #x3BC;g/ml의 농도에서 #x3B1;-amylase와 #x3B1;-glucosidase 저해활성이 각각 100%와 82.6%로 나타났다. 국상뽕잎으로부터 #x3B1;-amylase와 #x3B1;-glucosidase 저해활성을 가지는 천연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국상뽕잎 물추출물을 Sephadex LH-20과 MCI-gel을 이용하여 normal phase type인 EtOH #x2192;H 2 O와 reverse phase type인 H 2 O #x2192;MeOH로 유기용매의 농도를 증가시키며 gradient로 용출하여 정제하였다. #x3B1;-Amylase와 #x3B1;-glucosidase 저해활성을 가지는 정제물은 FAB-MS, NMR과 IR spectrum을 구조 분석한 결과 quercetin으로 동정되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52867260426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x03B1,-Amylase, #x03B1,-glucosidase,Morus alba cv. Kuksang,purification,ident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