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rbuscular mycorrhizal colonization and development of Flaveria bidentis under natural invasive condition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菌物學報 = Mycosystema
ISSN 1672-647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I, Yan-hua,LIU, Run-jin,LI, M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Flaveria bidentis 침입 과정에서 수지상 균근균(arbuscular mycorrhiza, AM)의 작용을 논의하기 위해, 먼저 Flaveria bidentis AM의 침입과 생장 표현을 조사 및 연구하였다. Flaveria bidentis 침입이 심각한 허베이성에서 샘플 수집 지역을 선택하고, 헝수이 지역의 빈후신구 샤오베이톈 마을, 지저우시 장샤 마을, 짜오창현 베이왕좡 마을, 타오청구 바리좡 마을, 빈후신구 순민좡 마을과 빈후신구 류자타이 마을 등 6개 마을에서 Flaveria bidentis의 고, 중, 저 피복도와 서로 다른 생육기(유묘기, 개화기와 종자기)에 따라 근계와 근권토양의 샘플을 수집하였다. 근권토양의 AM 진균 포자를 분리하고 AM 발육 특징을 관찰하였다. 또한 포자 밀도, AM 진균 감염률(colonization rate), 수지 착생률(arbuscular colonization) 등을 측정하고 토양의 물리 화학적 성질에 대한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각 샘플 수집 지역에서 모두 AM의 대표적인 구조를 관찰할 수 있었다. 서로 다른 샘플 지역의 균사 감염률, I형 수지 밀도 및 포자 밀도의 최대치가 모두 바리좡 마을에서 나타나고, 포낭 밀도와 A형 수지 밀도의 최대치가 샤오베이톈 마을과 류자타이 마을에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복도가 서로 다를 때, AM 진균 감염률의 최고치가 모두 심각한 감염 지역에서 나타났다; 서로 다른 생장 시기에 Flaveria bidentis의 AM 정도도 서로 달랐다. 수지 밀도의 최고치가 개화기에 나타나고 균사 감염률 간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외에 균사 감염률, 포낭 밀도와 포자 밀도의 최고치가 모두 종자 시기에 발생했다. 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도 Flaveria bidentis의 AM 발육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고 균사 감염률이 토양 유기질과 뚜렷한 정(+) 상관성을 나타냈다. 또한 pH 값과 뚜렷한 부(-) 상관성을 나타냈고 효과가 빠른 P 함량과 뚜렷한 부(-) 상관성을 나타냈다; A형 수지 밀도가 pH 함량과 뚜렷한 부(-) 상관성을 나타냈다; I형 수지 밀도와 토양의 전체 N 함량이 매우 뚜렷한 정(+) 상관성을 나타냈다; 포자 밀도가 유기질 함량 및 전체 N 함량과 뚜렷한 정(+) 상관성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AM 진균 감염이 Flaveria bidentis의 침입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26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rbuscular mycorrhizal fungi,invasive plant,spore density,hypha colonization,arbuscular colonization,수지상 균근균,외부 침입 식물,포자 밀도,수지상 균근균 감염률,수지 착생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