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ANG, Xu-jun,GUO, Ai-yun,CHEN, Zhu-chu,LU, Guang-xiu,ZHANG, Peng-fei |
초록 |
종양 마커는 폐선암(lung adenocarcinoma) 환자의 임상 진단과 예후 치료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 진단에 근거하여 선택한 인간 폐선암 조직과 종양 부근의 정상 폐조직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분별 원심분리법(Differential centrifugation)과 수성 2상 분해법(aqueous two-phase partition)을 결부하여 조직세포의 원형질막(plasma membrane)을 정제하였다. 그리고 동위원소 표지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iTRAQ(isobaric tag for relative and absolute quantitation) 기법과 고효율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직렬 질량분석기술(tandem mass spectrometry)을 결부하여 폐선암 조직과 정상 폐조직 간 차이를 나타내는 41종의 단백질을 검출하였다. 정상 조직과 비교했을 때, 폐선암 조직에서 18개 단백질의 발현이 상향 조절되었고 23개 단백질의 발현이 하향 조절되었다. 생물정보학 분석 결과, 차이를 나타내는 원형질막 단백질 FLOT1, CAV1과 ITGB1이 모두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의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폐선암 관련의 신호 전달 과정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백질 블롯팅과 면역조직화학 염색기술을 이용하여 차이를 나타내는 단백질 FLOT1, CAV1과 ITGB1의 폐선암 조직과 정상 조직 내 발현 상황을 감정하였다. 그 결과 단백질체학의 연구 결과와 일치했다. 연구 결과는 폐선암 진단 마커와 폐선암 발암 현상의 분자 메커니즘 연구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