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MA, Bing-cun,CHENG, Jian-guo,LUO, Yan,LUO, Xi,ZHOU, Xin,GAO, Xue-hua,WANG, Peng |
초록 |
난쟁이사향노루(forest muskdeer)의 장에서 젖산균과 장내세균(enterobacteria)의 유전자형과 표현형 다양성 및 약물 내성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건강하게 자란 10마리의 사향노루 배설물 샘플에서 22주의 젖산균과 16주의 장내세균을 분리하였다. 그리고 16S rDNA의 진화 분석과 생리 생화학법을 이용하여 분리 균주를 감정하고, 펄스장 겔 전기영동(Pulsed filed gel electrophoresis, PFGE) 기술을 사용하여 분리 균주의 유전자형을 분석하였으며 세균의 항균제 내성 시험(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으로 분리 균주의 약물 내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대장간균 Escherichia coli, 엔테로박터 클로아카 Enterobacter cloaca, E. amnigenus, 폐렴간균 Klebsiella pneumoniae, Enterococcus mundtii, 내성장구균 E. durans, Leuconostoc fallax,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L.acidipiscis, E. faecium과 Weissella cibaria 등 총 11종 세균을 분리하였다. 그중에서 대장간균 (n=11,28.9%)이 난쟁이사향노루의 장내 우세균 군집이고, 장내구균 (n=10,26.3%)이 우세적 젖산균 군집이었다. PFGE 분석 결과, 대장간균을 7개 유전자형으로 나눌 수 있고 젖산균을 9개 유전자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는 최초로 난쟁이사향노루의 장내에서 배양 가능한 세균의 유전자형과 표현형을 분석하였으며, 그의 약물 내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난쟁이사향노루의 장내 고유의 세균 군집은 뚜렷한 다형성을 나타냈다. 동시에 현재 흔히 사용되는 항생소에 대해 민감성을 보였으며 약물 내성 균주를 검출하지 못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