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HE, Wei,HU, Ting-xing,WANG, Rui,ZHONG, Yu,ZHOU, Xian,JING, Liao |
초록 |
1년생 남목(Phoebe zhennan)의 유묘를 재료로 사용하고, 분재 실험법(pot experiment)을 이용하여 질소 비료(NF), 복합 비료(CF), 유기 비료(OF)와 혼합 비료(MF) 등 4종 비료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연간 질소 비료 시비(fertilization)량을 표준으로 하여 저(L, 0.3 g/통), 중(M, 0.6 g/통), 고(H, 0.9 g/통) 등 3개 시비 수준을 설정하고 5, 7, 9월에 각 비료를 3차례에 나누어 매개 식물 재배통에 평균적으로 분배하였으며, 시비 한달후 남목 유묘의 형태와 광합성 생리(photosynthetic physiology) 지표를 고찰하고 시비가 남목의 광합성 및 생장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토론하였다. 실험 결과: (1) 3개 시비 수준에서 중 질소 수준(medium, M)이 남목 유묘의 생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가장 컸다; 각종 비료에서 CF 비료 효과가 가장 나빴고, NF의 비료 효과는 초기(5~6월)에만 비교적 뚜렷하였다. MF 비료는 시비후의 후기 (9~10월)에 영양분 공급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그러나 OF 비료는 식물주에 지속해서 영양분을 제공할 수 있었다. (2) 시비의 효과는 남목 유묘 잎의 엽록소 합성을 촉진할 수 있었으며 녹색 잎의 기능적 주기(functional period)를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순 광합성 속도(net photosynthetic rate)도 증가하였다. 그중에서 OF와 MF 비료 효과가 가장 뚜렷하였으며, 강한 광 조사, 고농도 CO 2 환경에서도 유묘의 광합성 능력을 효과적으로 제고할 수 있었다. (3) CF 비료를 제외하고 기타 3종 비료를 시비하면 남목 유묘의 묘 높이와 직경 생장량을 서로 다른 수준으로 증가시킬 수 있었는데, 시비량 가운데서 중 질소량 유기 비료(M OF )의 유묘 촉진 효과가 가장 우수했고, 해당 생장량이 대조그룹(CK, 비료를 주지 않았음)의 2배에나 도달할 수 있었다. 해당 내용을 종합하면, 남목 유묘의 최적인 비료 시비 방식은 중간 정도의 질소유기 비료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