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 of Fertilization on Photosynthetic Physiology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Phoebe zhennan Seedling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西北植物學報 = Acta botanica boreali-occidentalia sinica
ISSN 1000-402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HE, Wei,HU, Ting-xing,WANG, Rui,ZHONG, Yu,ZHOU, Xian,JING, Lia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1년생 남목(Phoebe zhennan)의 유묘를 재료로 사용하고, 분재 실험법(pot experiment)을 이용하여 질소 비료(NF), 복합 비료(CF), 유기 비료(OF)와 혼합 비료(MF) 등 4종 비료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연간 질소 비료 시비(fertilization)량을 표준으로 하여 저(L, 0.3 g/통), 중(M, 0.6 g/통), 고(H, 0.9 g/통) 등 3개 시비 수준을 설정하고 5, 7, 9월에 각 비료를 3차례에 나누어 매개 식물 재배통에 평균적으로 분배하였으며, 시비 한달후 남목 유묘의 형태와 광합성 생리(photosynthetic physiology) 지표를 고찰하고 시비가 남목의 광합성 및 생장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토론하였다. 실험 결과: (1) 3개 시비 수준에서 중 질소 수준(medium, M)이 남목 유묘의 생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가장 컸다; 각종 비료에서 CF 비료 효과가 가장 나빴고, NF의 비료 효과는 초기(5~6월)에만 비교적 뚜렷하였다. MF 비료는 시비후의 후기 (9~10월)에 영양분 공급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그러나 OF 비료는 식물주에 지속해서 영양분을 제공할 수 있었다. (2) 시비의 효과는 남목 유묘 잎의 엽록소 합성을 촉진할 수 있었으며 녹색 잎의 기능적 주기(functional period)를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순 광합성 속도(net photosynthetic rate)도 증가하였다. 그중에서 OF와 MF 비료 효과가 가장 뚜렷하였으며, 강한 광 조사, 고농도 CO 2 환경에서도 유묘의 광합성 능력을 효과적으로 제고할 수 있었다. (3) CF 비료를 제외하고 기타 3종 비료를 시비하면 남목 유묘의 묘 높이와 직경 생장량을 서로 다른 수준으로 증가시킬 수 있었는데, 시비량 가운데서 중 질소량 유기 비료(M OF )의 유묘 촉진 효과가 가장 우수했고, 해당 생장량이 대조그룹(CK, 비료를 주지 않았음)의 2배에나 도달할 수 있었다. 해당 내용을 종합하면, 남목 유묘의 최적인 비료 시비 방식은 중간 정도의 질소유기 비료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62202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fertilization,Phoebe zhennan,photosynthetic physiology,growth traits,시비,남목,광합성 생리,생장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