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FAN, Fu-jing,HUANG, Guo-qin,SONG, Tong-qing,ZENG, Fu-ping,PENG, Wan-xia,DU, Hu,WEN, Li,HE, Tie-guang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토양 미생물(soil microorganism)은 육지 생태계에서 가장 활발한 부분으로서 생태계의 에너지와 물질 순환을 추진하며 또 토양 생태계 변화의 조기경보 및 민감 지수로 이용되고 있다. 서남 협곡형 카르스트(groge Karst region in Southwest China) 경사지를 연구대상으로 하고 격자법(method of lattice)에 기반하여 샘플링을 진행한 후, 전형 통계학과 지구통계학(geostatistics)을 결합하여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soil microbial biomass)의 공간 분포와 패턴 및 그 주요한 영향 요소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서남 협곡형 카르스트 경사지의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 탄소(soil microbial biomasses of carbon, MBC), 질소(MBN), 인(MBP), C/N 비(MBC/MBN), C/P 비(MBC/MBP)는 적당한 수준을 나타냈으며 MBC, MBN, MBP 변이는 모두 아주 컸다. 뚜렷한 공간 자기상관성을 보였으며 MBP의 최적의 피팅 모델이 구형 모델(spherical model)인 외, 기타 지표는 모두 지수함수 모델이었다. C 0 /(C 0 +C)는 모두 Kriging 등치선도(isogram map)로부터 MBC, MBN값이 높은 지역은 경사지의 윗부분에 밀집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BP의 패턴은 이와 달랐는데 값이 높은 지역은 경사지 발치에 밀집하였다. MBC/MBN 패치(patch)는 비교적 컸으며 변화는 완화되었다. MBC/MBP의 공간 분포 법칙은 뚜렷하지 않았으며 패치는 많았으나 파편화 현상을 나타냈다. 서남 협곡형 카르스트 경사지 내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의 공간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아주 많았는데 그 중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 탄소와 질소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소는 토양층의 두께, pH, 알칼리 가수분해 질소(alkali hydrolysable nitrogen)였다. 서남 협곡형 카르스트 경사지 내 토양 미생물에는 소규모의 공간 분포 패턴이 존재하였으며 또 다양한 토양 미생물 특성의 공간 분포도 서로 달랐다. 그러므로 적당한 조치를 채택하여 토양 미생물의 활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6085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