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EI, Ya-wei,ZHOU, Wang-ming,ZHOU, Li,YU, Da-pao,ZHOU, Yong-bin,QIN, Sheng-jin,DAI, Li-min |
초록 |
싱안 낙엽송 천연림은 다싱안링 삼림지구의 주요 식생유형으로서 삼림 생태계 탄소 순환에서 주요한 작용을 한다. 다싱안링 삼림지구에서 다양한 임령의 싱안 낙엽송 천연림을 선정하고 그 교목, 관목과 초본, 조락물과 토양을 조사하였고, 이미 구축한 단일 목 상대생장방정식을 결합하여 탄소 저장량을 각각 계산하였으며, 해당 지역의 탄소저장고 동태 및 그 탄소저장고의 분배특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참고정보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싱안 낙엽송 천연림의 전체 탄소 저장량은 임령의 증가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유령림에서 과숙림(overmature forest)까지 각각 140.46, 186.63, 208.64, 308.62와 341.03 MgC/hm 2 이다. 전체는 탄소 흡수원으로 표현되며, 이는 주로 교목 탄소 저장량이 임령 증가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것과 관련된다; 교목 탄소 저장고의 변화범위는 45.44-212.67 MgC/hm 2 이며 전체 탄소 저장량에 차지하는 비율은 임령의 증가에 따라 점차 증가되며, 유령림의 32.60%에서 과숙림의 62.36%로 증가된다; 관목과 초본 탄소 저장량은 전체 탄소 저장량에 차지하는 비율이 비교적 낮으며, 단지 0.48%-0.93%이다; 조락물 탄소저장고는 과숙림에 비교적 많으며 26.11 MgC/hm 2 으로서, 이는 과숙림의 비교적 작은 인위적인 간섭과 관련이 있다; 토양 탄소 저장량은 유령림이 가장 작고 성숙림은 가장 높으며 각각 78.06와 131.93 MgC/hm 2 이지만 중국 기타 지역 천연림에 비해 모두 낮으며, 이는 해당 지역의 비교적 얕은 토양생성층과 관련된다; 토양 탄소 저장량은 임령의 변화에 따라 뚜렷하지 않지만, 전체 탄소 저장량에 차지하는 비율은 임령의 증가에 따라 점차 감소되며, 유령림의 56.01%에서 과숙림의 29.35%로 감소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