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hysiological response of Saussurea ussuriensis to Pb stress in Pb polluted and non-polluted area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Yi-feng,YUE, Yong-ch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간쑤성 후이셴현(Huixian County in Gansu Province)에 있는 중금속 오염지역과 간난 짱족 자치주(Tibetan Autonomous Prefecture of Ganan)에 있는 비오염지역의 구와취(Saussurea ussuriensis)를 연구대상으로, 수경재배 실험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농도의 납(Pb) 스트레스에 대한 구와취의 생리 지표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또한, 납 스트레스에 대한 중금속 오염지역과 비오염지역 구와취의 생리적 저항성 반응을 연구하였으며, 납에 대한 Saussurea속 식물의 저항성적 생태 적응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다양한 농도의 납 스트레스로 처리하였을 때, 오염지역 내 구와취의 엽록소 함량은 먼저 증가하였다 후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비오염지역 내 구와취의 엽록소 함량은 감소 추세를 보였다. 오염지역과 비오염 지역 내 두 구와취 개체군의 항산화 효소계의 활성은 먼저 증가하였다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오염지역 내 구와취의 저항성은 비교적 강하였다. 오염지역과 비오염지역에 서식하는 2개 구와취 개체군의 MDA 함량은 모두 증가하였으며, 비오염지역에 서식하는 구와취의 MDA 함량의 증가 추세는 오염지역에 비해 뚜렷하게 컸다. 2개 구와취 개체군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모두 감소하였는데, 그 중 비오염지역에 서식하는 구와취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의 감소 추세가 오염지역의 생물종에 비해 뚜렷하게 컸다. 다양한 농도의 납스트레스로 처리하였을 때, 오염지역 내 구와취의 이러한 변화는 이미 적응적 저항성이 진화되고, 중금속 저항적 생태형을 형성하였다는 것을 설명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933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Qinghai-Tibetan Plateau,Pb stress,physiological index,Saussurea ussuriensis,칭짱 고원,납 스트레스,생리 지표,구와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