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U, Min,ZHANG, Wen-hui,ZHOU, Jian-yun,MA, Chuang,HAN, Wen-juan |
초록 |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Bl.) 유묘의 건조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밝히기 위하여 분재실험 방법을 이용하여 대조, 경도, 중등도, 중도 건조 처리를 설치하여 굴참나무 유모의 작은 잔뿌리(0.0 그 결과, 건조 처리 120일 후, 대조 그룹과 비교한 결과, 경도 건조 스트레스는 잔뿌리 수량, 길이, 체적 및 건물 질량의 증가를 촉진하고 중등도와 중도 건조 스트레스는 잔뿌리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건조 스트레스에서 작은 잔뿌리의 수량과 길이는 큰 잔뿌리보다 많았고 큰 잔뿌리의 표면적, 체적 및 건물 질량은 작은 잔뿌리보다 현저히 컸다. 건조는 잔뿌리의 상대적 함수율과 활성을 감소시켰고(P 대조 그룹과 비교하는 경우, 경도 스트레스는 더 많은 삼투조절물질[프롤린(proline), 가용성당, 가용성 단백질]을 축적할 수 있고 더 높은 항산화효소 활성[슈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SOD), 카탈라아제(CAT), 과산화효소(POD), 아스코베이트 퍼옥시데이스(APX)]을 유지하였다. 중등도 건조 스트레스는 POD와 APX 활성을 감소시켰다. 중도 건조 스트레스는 가용성 단백질의 축적과 CAT, POD, APX 활성의 증가를 억제하였다. 큰 잔뿌리와 비교하는 경우, 작은 잔뿌리의 삼투조절물질과 항산화효소 활성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건조 정도가 중등도 스트레스를 초과할 때, 굴참나무 유묘는 진뿌리 성장과 생리생화학 적응성이 감소하였다. 작은 잔뿌리의 건조 환경에 대한 변화가 더 민감하고 수명이 더 짧았다. 실험 중, 중도 건조 스트레스에서도 잔뿌리의 심각한 탈수현상과 유묘가 죽은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굴참나무 유묘는 비교적 강한 건조 내성을 가지며 반건조 구역 식생의 복구 재건과 조림 공정 응용에 적합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