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Three Epiphytic Lichens under Different Water Condition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植物分類與資源學報 = Plant diversity and resources
ISSN 2095-084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HEN, Ke,LIU, Wen-yao,LI, Su,SONG, Li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착생 지의류(Epiphytic lichens)는 아이라오산(Ailao Mountain) 습성 상록활엽림 생태계에서의 중요한 구조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당 구역의 산지 산림 내 3가지 전형적인 착생 지의류인 Sticta nylanderiana, Lobaria retigera, Cetrelia olivetorum이 다양한 수분 조건에서의 광합성 광반응 및 형광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착생 지의류의 광보상점(light compensation points, LCP), 광포화점(light saturation points, LSP)은 높은 편이며 강한 빛에 대한 적응력이 강하다. 수분 스트레스(함수량 5%~10%) 조건에서 3가지 착생 지의류의 최대 순광합성 속도(P max )는 17~50nmol·g -1 ·s -1 이다. 함수량이 높아질수록 지의류의 최대 순광합성 속도(P max )와 암호흡율(Dark respiration rate)(R day )이 점차 커지고 LCP가 낮아지며 LSP는 점차 높아진다. 이에 3가지 착생 지의류는 '양지 식물'의 일부 특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야외에서 빛이 비교적 강한 덤불 숲, 남향 임관 등 서식지에 적응할 수 있게 되었다. 지의류의 엽록소 광반응 센터의 초기 형광 파라미터(initial fluorescence parameters)(F 0 )와 최대 광화학적 효율(maximum photochemical efficiency)(F v /F m )은 함수량이 낮아질수록 뚜렷이 낮아지며 이는 광반응 센터가 수분에 강한 민감성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수분 조건을 개선하는 것은 착생 지의류의 광반응 센터가 비교적 높은 생리활성 상태에 진입하는데 도움을 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55944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piphytic lichens,Water content,Photosynthesis,Light response,Fluorescence characteristics,착생 지의류,함수량,광합성 작용,광반응,형광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