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yly and selfing incompatibility of Plumbago auriculata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廣西植物 = Guihaia |
ISSN | 1000-3142, |
ISBN |
저자(한글) | ZHANG, Shuo,GAO, Su-pi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꽃 형태의 이형성이 이형 자기 불화합성(selfing Incompatibility)에서의 작용은 항상 논란이 되고 있다. 꽃 형태 이형성이 자기 불화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기 위하여, 대표 식물 플룸바고 아우리쿨라타(Plumbago auriculata)을 선택하여 꽃 형태를 관찰하였으며 호르몬을 이용하여 화주의 높이를 조절하고 조절한 후 화주를 수분하였으며 결실률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플룸바고 아우리쿨라타의 꽃 형태는 다양한 면에서 이형성이 존재하였다. (2) IAA, NAA, GA는 적당한 농도에서 화주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3) 조절한 후의 화주를 자연과 인공 수분하였을 때 결실률은 빈 대비그룹과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플룸바고 아우리쿨라타의 꽃 형태는 전형적인 이형성 특징이 있으며 해당 특징은 플룸바고 아우리쿨라타가 꽃 형태 사이 상호 보완식 자웅이위(Herkogamy)의 진화에 적응하는 전략이다. 자웅성 기관의 공간적 분포는 합법적인 꽃가루의 효과적인 전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통하여 자기 불화합성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이형꽃의 자가 불화합성은 생리적 메커니즘에서 더욱 많이 나타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1785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Plumbago auriculata,selfing Incompatibility,floral morphs,style,dimorphism,플룸바고 아우리쿨라타,자기 불화합성,꽃 형태,화주,이형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