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경기육괴 서남부 홍성 지역 흑운모 K-Ar 연대 분포의 의미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지질학회지 =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ISSN 0435-4036,2288-737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박승익,김성원,권상훈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nbsp; nbsp;중국의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륙 충돌대인 친링-다비-수루 조산대와 지구조적으로 대비되어온 홍성지역에서 총 19개의 흑운모 K-Ar 연대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연구지역의 K-Ar 연대는 트라이아스기 영역(227-198 Ma)과 쥐라기 영역(182-154 Ma)으로 뚜렷하게 분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연대 영역은 공간적으로도 명확하게 구분된다. 트라이아스기 연대는 신원생대 덕정리 정편마암류 및 고생대 월현리 복합체로 구성된 연구지역 북서측(영역 1)에 나타나며, 쥐라기 연대는 고원생대 변성퇴적암류 및 정편마암류로 이루어져 있는 연구지역 남동측(영역 2)에서 인지된다. 두 영역의 경계는 북동-남서 방향의 드러스트 성격을 가지는 전단대에 의해 정의된다. 열 유입의 근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화강암체와의 수평적 거리 및 모암의 형성 시기와 무관하게 공간적으로 규칙적인 경향을 보이는 영역 1의 K-Ar 연대는 이 구간이 대륙 충돌 사건 이후 지구조적 요인에 의해 상부지각으로 융기되었을 가능성을 지시한다. 이를 가정하여 영역 1에 나타나는 고압 변성암을 이용해 계산한 트라이아스기 융기 속도는 약 2.7 ㎜/yr 이상이다. 이러한 융기 속도는 중국 수루대에서 구해진 초고압/고압 변성암의 융기 속도(5-6 ㎜/yr 이상)에 비해 느리다. 한편 영역 2에서 인지되는 쥐라기 K-Ar 연대는 화강암류 정치에 의한 동위원소계의 재평형 시기 또는 후기 트라이아스기-전기 쥐라기에 지구조적으로 매몰된 이후 상부지각으로 융기된 시기를 지시하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해석을 명확하게 증명하기 위해서는 암석학적, 열연대학적, 구조지질학적 자료가 추가적으로 축적되어야 할 것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8944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흑운모 K-Ar 연대,고압 변성대,융기 속도,드러스트 전단대,동위원소계 재평형,biotite K-Ar age,high pressure rocks,uplift rate,thrust shear zone,isotopic reset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