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석회동굴 내 동굴생성물의 파괴특성을 이용한 고지진 연구 - 경북 울진 성류굴의 예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지질학회지 =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ISSN 0435-4036,2288-737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최진혁,고경태,김재윤,김영석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nbsp; nbsp;석회동굴 내 동굴생성물의 파괴 및 재성장 특성과 고지진 사이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상북도 울진군의 성류굴 내에 발달하고 있는 종유석, 석순, 석주 및 동굴커튼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동굴 천장에 발달하는 종유석 중 일부는 수평에 가까운 절단면을 따라 파괴된 형태를 보이며, 동굴바닥으로 낙하되어있다. 동굴의 바닥에서부터 성장하는 석순은 일부가 기울어지거나 절단된 특성을 보이는데, 4조의 석순을 분석한 결과 주로 동쪽으로 20°~30° 기울어졌음이 확인된다. 이들 두 동굴생성물이 결합된 형태인 석주 중 일부는 비교적 저각의 단층면을 기준으로 상ㆍ하부가 역단층성 단층운동을 겪었음이 확인된다. 석주에서 관찰되는 총 8개의 단층면은 주향 N20°~40°E, 경사 10°~20°NW 범위를 보이며, 이 중 7조의 석주는 10 ㎝ 내외의 비교적 일정한 변위량을 보인다. 동굴벽면을 피복하며 발달하는 동굴커튼에는 소규모 단열을 따라 볼록한 형태의 동굴생성물 재성장구조가 관찰되며, 이들의 방향성은 크게 두 단열군(N60°E~E-W/20°~40°NW와 N30°~50°W/20°NE 또는 20°SW)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변형 양상은 비록 동굴생성물의 종류에 따라 파괴 및 재성장 형태가 다양할지라도 각각의 동굴생성물에 나타나는 운동학적 변형 특성은 유사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성류굴 내 동굴생성물의 파괴원인이 인위적이라기보다는 지진과 같은 자연적인 지진동이나 지반운동과 연관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8944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성류굴,동굴생성물,파괴특성,재성장,고지진,Seongryu Cave,speleothems,damaged characteristics,regrowth,paleo-earthqu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