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BURIAL DISSOLUTION OF ZHUJIANG REEF LIMESTONE ON THE LIUHUA CARBONATE PLATFORM, SOUTH CHINA SE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地質與第四紀地質 = Marine geology quaternary geology
ISSN 0256-149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IANG, Kai-xi,HE, Wen-xiang,PENG, Li,CHEN, Zu-lin,ZHU, Jun-zhang,XIANG, Ni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고정밀 3D 탄성파 탐사 자료 처리 해석 기술을 이용하여 남중국해 류화 탄산염 대지의 주장층 초석회암 지층에는 수많은 싱크홀이 발달되어 있으며, 또한 싱크홀은 평면에서 NWW 방향을 따라 단층에 분포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해당 지역에서 싱크홀의 형성으로 인해 저류층의 이질성 증가에 더욱 복잡한 석유가스의 부존이 초래되었으며, 또한 석유가스의 탐사에 수많은 어려움과 도전이 증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암석 코어 추출물 GC 및 GC/MS를 분석한 다음, 지역의 구조운동사 및 지층수의 동적 특성 등 자료를 결합하여 해당 지역에 매장된 산성 유체의 형성 원인 및 유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백악질 석회암의 형성 원인에 대하여 새로운 인식을 제안하였으며, 또한 연구 지역에 매장된 산성 유체의 용식 모드를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매장된 산성 유체는 주로 (1) 탄화수소 근원암 내 유기질의 열분해 및 이로부터 생성된 알케인류와 광물 및 물 등 유기물-무기물 사이의 산화 작용, (2) 원유 이동 과정에서 균열층의 유기물과 무기물 사이의 산화 작용 (3) 저류층 원유의 생분해 작용 등으로 형성된 유기산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보였다. 그중 원유의 생분해로 형성된 유기산의 농도는 4 300μg/g 이상에 도달할 수 있었다. 류화 탄산염 대지에서 발달된 백악질 석회암은 활발하게 유동하는 지층수의 동적 조건에서 유기산의 장기적인 용식, 침포(soaking) 및 세정(washing)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보였다. 함유층 구간에 발달된 치밀한 협층은 바깥 쪽만 산성 유체의 용식을 받았을 뿐, 내부는 영향을 받지 않아 여전히 치밀한 구조를 보존하고 있었으며 또한 백악질 석회암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매장된 가용성 유기산은 활발하게 유동하는 지층수의 동적 조건에서 복잡한 균열망을 따라 이동하다가 단층 및 균열이 가장 발달한 위치에서 암석을 파쇄시켜 유기산-암석의 반응 공간을 가장 크게, 속도를 가장 빠르게 하였다. 또한 탄산염암 지층의 용식으로 인한 붕괴를 초래하여 NWW 방향에 따라 단층 시스템에 분포되는 싱크홀을 형성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311100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cid fluids,burial dissolution,reef limestone,Liuhua carbonate platform,산성 유체,매장 및 용식 작용,초석회암,류화 탄산염 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