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isker Tactile Adaptation Is Encoded by Inactivity and Asynchrony of Network Neurons and Astrocytes in Barrel Cortex Through AMPAR Desensitization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物化學與生物物理進展 = Progress in Biochemistry and Biophysics |
ISSN | 1000-3282, |
ISBN |
저자(한글) | ZHAO, Jun,WANG, Jin-hui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동물의 감각 입력(sensory inputs) 적응성은 외계 환경 변화에 대한 동물의 인식 및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 감각 수용기, 구심성 신경(afferent nerves), 중추 신경계 등 감각 경로(sensory pathways)의 각 계층에서 나타나는 반응 활성의 둔화는 감각 적응성과 관련이 있다. 감각 적응 과정에서 대뇌 피질의 국부적인 네트워크에서 일어나는 신경세포 및 별아교세포의 신호 인코딩 메커니즘은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생체 2광자 이미징(in vivo two-photon imaging), 전기생리학적 기록, 약리학 방법을 사용하여 쥐의 수염 촉각부분 반복 입력 상황에서 쥐 barrel 피질 신경세포 및 별아교세포의 반응 동역학을 분석하였다. 동일한 특성의 수염 감각 자극은 신경세포 및 별아교세포 반응 활성의 둔화, 세포 활동의 공간적 및 시간적 비동기화, 신경세포와 별아교세포 사이의 협동성 둔화를 유발한다. 국부적인 부위 AMPA 수용체 탈-민감화 억제제를 사용함으로써 신경세포 및 별아교세포 기능의 공간적 및 시간적 둔화를 역전시킬 수 있다. 수염 감각 적응 과정에서 barrel 피질 신경세포 및 별아교세포 반응 활성의 둔화 그리고 비동기화는 AMPA 수용체 탈-민감화에 의해 유도된 것이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280283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neuronal network,astrocyte,barrel cortex,whisker,adaptation,AMPA-receptor,in vivo two-photon imaging,신경망,별아교세포,배럴 피질,수염,적응성,AMPA 수용체,생체 2광자 이미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