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lecular Regions Determining The Voltage-dependence of Inactivation for T-type Calcium Channel Cav3.1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物化學與生物物理進展 = Progress in Biochemistry and Biophysics |
ISSN | 1000-3282, |
ISBN |
저자(한글) | HE, Bing-jun,HU, Fen,SHANG, Xue-liang,HAN, Li-xin,WU, Guang-yan,LI, Jun-ying,SUN, Jin-she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T형 칼슘 통로(Ca v 3)는 다양한 유형의 세포에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저전압 활성화와 빠른 전압 의존적 불활성화(voltage-dependence of inactivation)는 Ca v 3의 뚜렷한 전기생리학적 특성이다. 불활성화는 통로의 생리기능 조절에서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한다. 하지만 통로 불활성화에 관여하는 구체적인 분자학적 기초는 현재로서 명백하지 않다. Ca v 3.1 통로의 전압 의존적 불활성화 조절 도메인을 확정하기 위해, 전압 의존적 불활성화가 없는 Ca v 1.2 통로의 도메인 Ⅰ과 도메인 Ⅱ 중의 S1-S4, S5-S6 영역 그리고 Ⅰ과 Ⅱ 간의 링커(linker)로 Ca v 3.1 중의 상응 부분을 교체하여 조립 통로를 구축하였고 난모세포에서 발현시켰다. 전압고정(voltage clamp) 기술을 사용하여 통로의 전기생리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Ⅰ 중의 S1-S4 또는 S5-S6 영역 교체는 Ca v 3.1의 불활성화 특성을 뚜렷이 개변하였지만 이러한 개변은 주로 활성화-불활성화 연결(activation-inactivation coupling)에 의한 것이다. Ⅱ의 교체는 통로의 불활성화 곡선(inactivation curve) 매개변수를 뚜렷하게 변화시켰다. 이는 도메인 Ⅱ, S1-S4, S5-S6 모두 Ca v 3.1의 불활성화 과정에 대한 조절에 관여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Ⅰ과 Ⅱ 간의 링커 및 Ⅰ 중의 S5-S6는 주로 Ca v 3.1의 불활성화 속도를 조절하였고 Ⅰ과 Ⅱ 중의 S1-S4는 통로의 불활성화 속도에 영향이 없었다. 종합해보면, 도메인 Ⅱ는 Ca v 3.1의 전압 의존적 불활성화를 조절하는 핵심 요소이고 도메인 Ⅰ은 통로의 불활성화 과정에 대한 조절에 관여하지 않는다. Ⅰ과 Ⅱ 간의 링커 및 Ⅰ 중의 S5-S6는 주로 Ca v 3.1 통로의 불활성화 속도를 조절하였고 Ⅰ과 Ⅱ 중의 S1-S4는 통로의 불활성화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558620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Ca lt,sub gt,v lt,/sub gt,3.1 calcium channel,voltage-dependence of inactivation,molecular determinant,electrophysiology,T형 칼슘 통로 Ca lt,sub gt,v lt,/sub gt,3.1,전압 의존적 불활성화,도메인,전기생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