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가리와 명태에 대한 형태학적 고찰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韓國海洋學會誌 |
ISSN | 0374-8049, |
ISBN |
저자(한글) | 김완수,허성회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1978-01-01 |
초록 | 노가리는 명태, Theragrachalcogramma(PALLAS)의 미성어라고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으며 우리나라 수산자원보호령의 미성어 보호대책 규정에 의해 종래에는 그 어획이 금지되어 있었다. 그러나 수산당국은 자원학적 견지에서 노가리를 어획하여도 무방하다는 해석을 내려 1974년부터 노가리에 대한 어획금지규정을 폐기하였으며 현재까지 어획을 허용하고 있다. 명태는 우리나라 국민의 중요한 식량원이며 동해안에서 비교적 산업적 가치가 높은 데도 불구하고 이 집단에 대한 자원생물학적 지견과 자원의 변동법칙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일부 어민들은 심지어 노가리는 명태의 미성어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명태는 개체 또는 집단으로서 넓은 변이성을 가진 어종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현금과 같은 격렬한 어업 압력에 과연 얼마나 견딜 수 있는가를 규명하는 일이 요청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노가리와 명태에 대해 몇가지의 형태학적 집단표징을 관찰하여 검토한 결과를 보고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7811920645580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