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ctivity of Photosystems Ⅱ in Leaves of Actinidia arguta under Different Temperature Treatment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西北植物學報 = Acta botanica boreali-occidentalia sinica
ISSN 1000-402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Zhen-xing,AI, Jun,CHEN, Li,FAN, Shu-tian,HE, Wei,QIN, Hong-yan,ZHAO, Y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다래나무 '쿠이뤼(Kuil?)'를 실험재료로 하고, 신속한 엽록소 형광 유도 동역학 곡선 분석 기술(JIP-test)을 이용하여 열 스트레스 처리가 식물체 엽편의 광계 Ⅱ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1) 다래나무 엽편의 최대 광화학효율(F v /F m )은 35~48℃의 범위내에서 뚜렷하게 변화하지 않았으며 온도가 52℃까지 높아졌을 때에만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2) 온도의 상승에 따라 엽록소 형광 유도 동역학 곡선 중 J점과 I점의 상대 가변 형광 V j 와 V i 는 뚜렷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52℃일 때 또 뚜렷하게 상승하였고 K점의 상대 가변 형광 V k 는 점진적으로 상승하였다. 엽편이 포획한 엑시톤(exciton)은 전자를 전자 전달 사슬 중 Q A - 하류 전자 수용체에 전달하는 확률(ψ 0 )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하였으나 52℃일 때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3) 열 스트레스 시간이 연장됨에 따라 V j 와 V i 는 시간이 연장됨에 따라 높아졌고 ψ 0 은 감소하였으며 전자 전달 사슬 수용체는 심하게 억제되었다. 결과적으로 고온은 다래나무 엽편의 PSⅡ 전자 전달 사슬 공여체 측과 수용체 측의 활성을 뚜렷하게 억제하였으나 PSⅡ의 공여체 측은 수용체 측보다 고온에 더 민감하였다. JIP-test로 측정한 관련 파라미터는 서로 다른 온도가 다래나무 광계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314388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ctinidia arguta(Sieb. et Zucc.) Planch. ex Miq.,heat stress,photosystem,JIP-test,다래나무,고온 스트레스,광계,JIP-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