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rol method of inlet turbulent intensity in rotating channel and validation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航空動力學報 = Journal of aerospace power |
ISSN | 1000-8055, |
ISBN |
저자(한글) | WU, Xue-wang,SUN, Ji-ning,ZHANG, Chuan-jie,JIN, Zhao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회전 통로 실험에 초점을 맞추어 이상적인 회전 통로 입구 난류 강도를 얻고 실제 터보 블레이드 내부 냉각 통로의 유동 및 열전달을 더욱 잘 시뮬레이션 하기 위하여, 입구 난류 제어 방법을 제기하고 실험을 통하여 해당 방법을 검증하고 초보적인 탐색을 진행하였다. 실험에서는 변의 길이가 40mm×40mm인 정사각 채널에 한층의 메시 직경이 d=3mm, 메시 간격이 M u = 12mm인 댐핑 네트를 설치하였고, 열선 풍속계(hot wire anemometer)를 이용하여 레이놀즈 수가 2,200~3,900인 댐핑 네트를 통과한 후의 하류 난류의 특성을 얻었다. 연구 결과, 유체는 해당 댐핑 네트를 통과한 후 난류가 뚜렷이 강해졌으며 흐름 방향에 따라 점차 감쇄되었고 같은 점의 난류는 댐핑 네트 레이놀즈 수가 커짐에 따라 커졌다. 또한, 기류는 댐핑 네트를 통과한 후 비교적 짧은 거리 내에서 5%의 난류를 얻었으며 이는 실제 터보 블레이드 내부 냉각 통로의 유동 난류와 비슷하였다. 댐핑 네트 레이놀즈 수가 작을수록 유동이 더욱 일찍 종방향 균등 및 등방성 난류에 진입하였다. 또한 전형적인 공식을 통하여 댐핑 네트를 통과한 후의 통로 중심 난류가 흐름 방향에 따른 분포를 정합하였으며 실험 데이터와 곡선이 비교적 잘 정합되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675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rotating channels,inlet turbulent intensity,hot wire anemometry,grid,flow and heat transfer,회전 통로,입구 난류 강도,열 와이어 풍속기,댐핑 네트,유동 및 열전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