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olphinfish Coryphaena hippurus associated with drifting fish aggregation device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上海海洋大學學報 = Journal of Shanghai Ocean University
ISSN 1674-556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Xue-fang,XU, Liu-xiong,TANG, Hao,ZHOU, Cheng,ZHU, Guo-p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부유형 집어기구(fish aggregation devices, FAD)는 다랑어 선망(tuna purse seine) 어업과정에 다랑어의 유집 및 어획에 널리 응용된다. 만새기(Dolphinfish)는 부유형 FAD로 유집한 어군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부수 어획종의 하나이며 그 생물학적 특성을 연구하는 것은 개체군의 구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또 해당 자원을 합리적으로 보호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2010~2013년에 중서 태평양 다랑어 선망어업 과학관찰원이 5°N~10°S, 145°E~170°E해역에서 수집한 189마리의 만새기 샘플을 이용하여 가랑이 체장(fork length) 분포, 성비, 성성숙도 및 섭식 등 생물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만새기의 가랑이 체장 범위는 10.0~126.3 cm였으며 우점 가랑이 체장은 70.0~100.0 cm로서 총 수의 66.7%를 차지하였다. 암수 성비는 4.1:1였다. 샘플은 주요하게 성성숙(Ⅴ~Ⅵ시기)한 개체로서 총 수의 73.6%를 차지하였으며 성성숙도가 50%인 개체의 가랑이 체장(L 50 )은 49.95 cm였다. 76.0%의 위에는 내용물이 없었으나 기타 흔히 볼 수 있는 소형 부수 어종, 예를 들면 가다랑어(Katsuwonus pelamis)의 유어, 풀가라지(Decapterus macarellus), 줄전갱이(Caranx sexfasciatus), Canthidermis maculata, 객주리(Aluterus monoceros)가 자주 나타났다. 어업 생물학 정보로부터, 부유형 FAD 조건에서 만새기 개체군은 주요하게 성성숙한 대형 개체이며 FAD는 암컷에 대하여 더 높은 밀집 효과를 나타내며 섭식은 만새기가 부유물을 향하여 유동하는 원인 가운데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690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tuna purse seine,drifting fish aggregation devices,dolphinfish (Coryphaena hippurus),fishery biology,motivation of FAD aggregation,다랑어 선망,부유형 집어기구,만새기,어업 생물학,밀집 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