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stablishment of fin cell line from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大連海洋大學學報 = Journal of Dalian Ocean University
ISSN 2095-138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MA, Chen,WANG, Fu-jing,LI, Xia,QIN, Yan-jie,LI, Ya-ju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조직 배양법을 이용하여 미꾸라지(Misgurnus anguillicaudatus) 지느러미의 조직 세포에 대해 1차 배양을 진행하였으며, 트립신(Trypsin) 소화법으로 계대 배양하였고 현재까지 63세대를 배양하였다. 1차 배양과 초기 계대 배양에서 이용한 배양기는 DMEM/F12이고 또 체적 분수가 20%인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10ng/mL의 염기성 섬유모세포 생장인자(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20ng/mL의 I형 인슐린유사 생장인자(Type I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I)와 10μg/mL의 콘드로이틴황산(chondroitin sulfate)을 첨가하였다. 30세대 이후 이용한 배양기는 20%의 FBS-DMEM/F12이고 CO 2 배양 탱크(5%, 25℃)에서 배양하였다. 배양한 지느러미의 세포 형태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와 유사하였으며 군체 배가시간(Doubling time)은 56.85시간이고 특징적 염색체 수효는 50개이었다. 세포는 액체 질소(liquid nitrogen)로 30일 냉동 보존하였으며 해동되어 재생한 후 그 세포의 생존율은 81.31%±1.46%이었다. 바이러스 감염의 실험 결과, 미꾸라지 지느러미의 세포계는 잉어의 봄바이러스병(spring viremia of carp virus, SVCV)에 대해 민감하였으며, 바이러스 역가는 105.62TCID50/mL이고 어류 노다바이러스(nodavirus)에 대해 민감하지 않았다. 미꾸라지 지느러미의 세포계의 구축은 어류 세포계의 종류를 풍부하게 하였으며 또 미꾸라지 독성학, 바이러스학의 연구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691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isgurnus anguillicaudatus,fin cell line,biological characterization,viral susceptibility,미꾸라지,지느러미 세포계,생물학적 특성,바이러스성 감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