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Genetic heterogeneity of Metarhizium anisopliae populations from the soils collected from Anhui Provinc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菌物學報 = Mycosystema
ISSN 1672-647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hen, Mingjun,Zhou, Yubao,Huang, B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녹강균(Metarhizium anisopliae)은 곤충 집단의 자연 제어와 해충의 생물적 방제(biological pest control) 중의 중요한 곤충기생 진균으로써 이미 기타 화학적 농약을 대체하여 농림 해충의 방제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그 숙주의 범위와 지리적 분포가 아주 넓어 개체군 구조 역시 매우 복잡하다. 중국 안후이성(Anhui Province) 녹강균 집단의 유전적 구조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ISSR 분자 마커 기술을 이용하여 안후이성의 서로 다른 토양에서 116주의 녹강균을 채집하여 그 유전적 이질성(genetic heterogeneity)을 분석하였다. 분자 데이터 결과에 따르면, 선별한 8개의 프라이머에서 총 79개의 사이트를 얻었는데 그중 다형성 사이트 비율이 100%였다. 서로 다른 지역 개체군의 Nei's 유전자 다양성(H)는 0.2796, Shannon 정보화 지수(I)는 0.4425였다. 개체군 사이에는 일정한 유전자 흐름[(gene flow), Nm=4.282]과 유전적 분화(Gst=0.1015)가 존재하였으며 개체군 내의 유전자 다양성은 전체개체군의 89.85%를 차지하고 개체군 사이에서는 10.15%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안후이성 토양 서식 녹강균의 유전적 변이는 주로 개체군 내에서 오며 비교적 큰 유전적 변이를 일으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UPGMA로 모든 검사 재료에 대해 클러스터 분석을 진행하여 7가지 큰 부류의 개체군을 얻었다. 연구 결과, 안후이성 토양 서식 녹강균 사이의 혈연관계는 그 지리적 기원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275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ntomopathogenic fungi,inter-simple sequence repeat (ISSR),gene flow,genetic differentiation,곤충기생 진균,ISSR 분자 마커,유전자 흐름,유전적 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