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GUO, Xiao-ling,YU, Rong-jie,ZENG, Zhi-xing,LI, Mei,ZHONG, Jia-ping,ZHANG, Hua-hua |
초록 |
B 계열 G-단백질 결합 수용체(G protein-coupled receptors, GPCRs) PAC1는 뇌하수체 아데닐산고리화효소 활성화폴리펩티드(pituitary adenylate cyclase activating polypeptide, PACAP)의 특이적 수용체(specific receptor)로서 PACAP를 유도하여 신경 보호 기능이 있게 하며, 또한 신경계 질환(neurological diseases)을 치료하는 약물의 개발에 이용되는 중요한 표적이다. HSDCIF(His-Ser-Asp-Cys-Ile-Phe)는 PAC1의 N말단 세포외 1지역(extracellar domain 1, EC1)에 위치하여 있는 짧은 펩티드 서열(short peptide sequences)로서 PAC1 수용체의 활성 유발을 촉진하는 지역인 PACAP(1-6)와 아주 높은 상동성(homology)이 있다. 유전자 녹아웃(gene knock-out) 기술을 이용하여 HSDCIF 모티프 결실 PAC1 돌연변이체 (HISCIF motif deletion PAC1 mutant, D-PAC1)를 구축한 후 유전자 공학 원리와 기술을 이용하여 진핵발현 재조합벡터를 구축하였다. 그 중에는 증강된 황색형광단백질융합(enhanced yellow fluorescent protein, EYFP) 발현벡터 D-PAC1-EYFP, 생물학적 발광 에너지 전달(biolumin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BRET)의 검출에 이용되는 D-PAC1-Rluc 및 2분자 형광 상보성(bimolecular fluorescence complementation) 실험에 이용되는 D-PAC1-EYFP/N와 D-PAC1-EYFP/C 등이 포함된다. 면역형광법(immunofluorescence assay)으로 D-PAC1의 발현을 측정하였으며, 형광 공초점 현미경(fluorescence confocal microscopy)으로 D-PAC1의 세포 전달(cellular trafficking) 기능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웨스턴 블럿(Western blot), BRET 및 BiFC 방법을 통하여 D-PAC1의 이합체화(dimerization) 정도를 검사하였고, 또한 HSDCIF 모티프가 PAC1의 이합체와 세포 중 위치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검사 결과, HSDCIF 모티프 결실 돌연변이체 D-PAC1는 이합체화가 발생되지 않고, 또한 세포 전달을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없고,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 중에 정착(retentioned)되어 있었다. 그리고 외래 화학 물질로 합성(exogenous chemically synthesized)한 올리고펩티드(oligopeptide) HSDCIF는 정상적인 PAC1의 이합체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