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spergillus aculeatus JMUdb058 for naringinase productio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生物學報 = Acta microbiologica Sinica
ISSN 0001-620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Di,NI, Hui,LI, Lijun,CHEN, Feng,XIAO, Anfeng,CAI, Huinong,SU, Wenj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목적] 새로 분리한 하나의 나린기나아제(naringinase) 생성 균주 JMUdb058을 감정하고, 해당 균주의 나린기나아제 합성 법칙을 연구하는 것이다. [기법] 형태학적 관찰, 28S rDNA 서열 분석을 이용하여 Mudb058을 감정하고;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eversed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나린진(naringin)에 대한 Mudb058 조효소액의 가수분해 작용을 측정하고 나린기나아제(Naringinase) 활성을 감정하였다. 또 11가지의 탄소원과 6가지 질소원으로 셰이크 플라스크 발효(shaking flask fermentation)를 진행하고, 탄소원과 질소원이 해당 균주의 나린기나아제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고체 및 액체 조건에서 발효를 진행하여 해당 균주의 나린기나아제 합성 능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균주 JMUdb058의 균락 형태와 미세 구조 형태는 누룩곰팡이속의 전형적인 형태 특성에 부합되며, 그 28S rDNA 서열과 아스퍼질러스 아큘레아투스(Aspergillus aculeatus)와의 유사성은 100%에 도달하였다. 또 액상과 고체 상태 두 가지 발효법으로 얻은 조효소액은 표준 용액 중의 나린진을 가수분해하여 프루닌(prunin)과 나린게닌(naringenin)을 얻었으며, 감귤류 즙(citrus juice) 중의 나린진을 가수분해할 수 있었다. 헤스페리딘(hesperidin), 나린진, 루틴(rutin)과 람노오스(rhamnose)를 탄소원으로 하고, 트리프톤(tryptone)과 콩가루(soybean meal) 등 유기물을 질소원으로 하여 나린기나아제를 분비할 수 있었다. 해당 균주는 고체 상태로 발효할 때 비교적 강한 나린기나아제 발효 능력을 가졌으며, HPLC법으로 측정한 alpha;-L-람노시다아제 활성과 나린기나아제 활성은 각각 5903과 1939U/gds였으며, Davis법으로 측정한 나린기나아제 활성은 72232U/gds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최초로 아스퍼질러스 아큘레아투스가 나린기나아제를 분비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람노오스를 기초로 한 물질은 그 나린기나아제의 유도물이 될 수 있었다. 아스퍼질러스 아큘레아투스 JMUdb058의 고체 발효를 거친 나린기나아제의 생성 능력은 아주 우수하였으며, 고(high)함량의 나린기나아제를 생성할 수 있는 새로운 미생물 자원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836361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spergillus aculeatus,identification,naringinase,carbon resources,nitrogen resources,solid-state fermentation,아스퍼질러스 아큘레아투스,감정,나린기나아제,탄소원,질소원,고체 발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