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tudy on Fermentation and Conversion of L-cysteine by Pseudomonas sp. F-12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技術通報 = Biotechnology bulletin
ISSN 1002-546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O, Jing-nan,LI, Zhi-min,YE, Q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은 서로 다른 발효 전략으로 슈도모나스속 F-12(Pseudomonas sp. F-12) 균주가 DL-2-아미노-Δ 2 -티아졸린-4-카복실산(DL-2-Amino-Δ 2 -thiazoline-4-carboxylic Acid, DL-ATC)을 기질로 하여 L-시스테인(L-cysteine)을 생산하는 과정을 최적화하였다. 그리고 회분식 발효(batch fermentation)와 지수형 유가식 발효(exponential fed-batch fermentation) 방법으로 생산하는 과정에서 DL-ATC 농도를 각각 5 g/L와 15 g/L로 제어하였다. 연구 결과, 15 g/L DL-ATC로 회분식 발효하여 생산한 L-시스테인(L-cysteine)의 최대 효소 활성은 149.1 U/mL, 비활성(specific activity)은 70.9 U/mg DCW에 도달하였으며, 15 g/L DL-ATC로 2단계 지수형 유가식 발효하여 생산한 L-시스테인의 최대 효소 활성은 313.3 U/mL에 도달하였는데 이것은 회분식 발효 방법에 비하여 최대 효소 활성이 2.1배 증가하였다. 그리고 2단계 발효 과정에서 DL-ATC 사용량을 5 g/L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2단계 발효 과정에서 서로 다른 유가식 발효 방법으로 검증한 결과, 균주의 생산량은 효소 활성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다. 본 논문은 처음으로 슈도모나스속 F-12 균주의 전부 휴지 세포(resting cell)를 전환하여 L-시스테인을 합성하는 과정에 미치는 주요 영향 요소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슈도모나스속 F-12 균주의 전환 과정에 가장 적합한 pH 8.0, 온도 30℃였다. 톨루엔(toluene) 등 유기 용제(organic solvent)를 첨가하는 조건에서 세포막 투과성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L-시스테인의 생산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7.16배 증가되었고, 최대 몰 전환율(molar conversion raito)이 93.3%에 도달하였다 서로 다른 금속 이온이 전환 과정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달랐는데 0.1 mmol/L Fe 2+ 는 전환 반응에 대하여 촉진 작용을 하였고, 0.1 mmol/L Co 2+ , Zn 2+ , Ni 2+ 등 중금속 이온은 전환 반응에 대하여 억제 작용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미생물 발효법 및 전부 세포 전환법으로 시스테인을 합성하는 과정의 향후 산업화 생산 단계로의 발전에 기초를 마련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196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seudomonas sp. F-12,L-cysteine,DL-ATC,Fermentation,Bioconversion,슈도모나스균,L-시스테인,DL-2-아미노-Δ lt,sup gt,2 lt,/sup gt,-티아졸린-4-카복실산,발효,생물학적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