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non-ionic surfactants on butanol production with Clostridium acetobutylicum ATCC 824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物工程學報 = Chinese journal of biotechnology |
ISSN | 1000-3061, |
ISBN |
저자(한글) | HOU, Tong-gang,ZHANG, Yue-dong,CHEN, Xiu-fang,GUAN, Jing,MOU, Xin-do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전통적인 아세톤-부탄올(Acetone butanol) 발효 생산물은 농도가 너무 낮아(뷰탄올 최종 농도 약 1.3wt%) 후기 분리 원가가 높고 이로 인해 해당 과정의 경제성에 영향을 주고 산업화 진척을 제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고첨가량의 소분자 비이온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e active agent)가 바이오 부탄올(Bio butanol)의 발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Tween 80을 사례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계면활성제 첨가량이 임계미셀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를 초과한 후 부탄올 발효 최종 농도는 계면활성제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높아진다. 첨가량이 5wt%일 때 뷰탄올 최종 농도는 1.6wt%에 도달하였으며 해당 균종의 억제 농도에 비해 훨씬 높았다(0.8wt%). 계면활성제의 작용 메커니즘에 대하여 서술하기 위하여 본 실험에서는 Tween 80이 뷰탄올의 가용화 효과(solubilization effect) 및 발효 균체 표면 친수성(hydrophilic)과 소수성(hydrophobic)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Tween 80이 부탄올에 대한 가용화 효과는 매우 작지만 균체 표면의 친수성과 소수성에는 비교적 명확한 영향을 미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436903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Surfactants,Tween 80,bio-butanol,toxicity,solubilization,표면 활성제,Tween 80,바이오 부탄올,독성,가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