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oll-up clasts in the Cretaceous Haman Formation, Korea: Occurrences, origin and paleoenvironmental implication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지질학회지 =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ISSN 0435-4036,2288-737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In Sung Paik,Hyun Joo Kim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모래 해변(sandy beaches)의 형성 및 발달은 지각의 깊은 부분을 연결하는 과정과 지표를 연결하는 종합적 구현과정이다. 본 논문은 중국 연안 모래 해변의 분포 상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 근거하고, 그 분포 법칙과 중국 동부 연해 중생대-신생대(Mesozoic-Cenozoic eras)에 형성된 서로 다른 지질학적 해양 퇴적 환경에 대한 내부적 연결을 분석하여, 모래 해변의 지역성 차이 분포와 퇴적 지형이 형성된 특징을 탐구하였으며, 이로써 중국 해안 자원 이용의 거시적 배치와 관리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1) 중국 연안 모래 해변의 형성 및 발달과정은 중생대-신생대 지질구조대(geologic tectonic zones)에 의해 제어되었으며, 특히 신기구조 운동(neotectonic movement) 시기의 지각 변형에 의한 단층 지괴(fault block)의 상승 및 침강 차이성 영향을 받았고, 지역적으로 풍부한 패턴을 나타냈다. (2) 중국 모래 해변은 기본적으로 지질구조가 융기(uplifting)된 지대의 갑만 연안(cape-bay coasts)에 형성되었으며 신기구조 운동에 의한 상승지역 해안에 축적되었다. 이는 주요하게 그 지역성 해안 환경이 모래 퇴적을 형성하는 물질 기초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3) 지질구조가 융기된 지대의 빈하이(Binhai) 모래의 이동 경로 및 그 재분배 형태는 복잡하고 다양하다. 따라서 각종 다양한 모래 해변의 퇴적 지형 유형을 산생하였다. (4) 해안지형과 퇴적 형성 모드에 근거하여, 중국 연안 모래 해변을 갑만 해안의 모래가 쌓여 퇴적한 형태, 사주(barrier)에 의한 연속적 퇴적 형태와 파도에 의해 지배된 삼각주 평원의 침식 변환 퇴적 형태 등 3가지 기본 모델로 나누었다. (5) 연해 제4기 후기(late-Quaternary period)의 고대 평탄한 지형면과 현대 해수면의 상대 높이 분포를 분석한 결과, 산언덕 갑만 해안 유형의 모래 해변은 주요하게 신기구조 운동의 침강 지역 혹은 지질구조의 상대 안정 지역에 형성되었으며, 대지 갑만 해안 유형과 석호 사주(lagoon-barrier) 해안 유형은 상승 지역에 형성되었고, 파도에 의해 지배된 삼각주 평원의 해안 유형은 단층 지괴 분지에 분포되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2305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진주,함안층,롤업구조,미생물 기원 퇴적구조,Jinju,Haman Formation,Roll-up structure,Microbially induced sedimentary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