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ING OF PALEOTOPOGRAPHIC AND GEOMORPHOLOGIC EVOLUTION AND PALEOTOPOGRAPHIC RECONSTRUCTION BY LOW-TEMPERATURE THERMOCHRONOLOGIC APPROACHE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海洋地質與第四紀地質 = Marine geology quaternary geology |
ISSN | 0256-1492, |
ISBN |
저자(한글) | LV, Hong-hua,ZHANG, Tian-qi,CHANG, Yan-chun,WANG, Wei,ZHOU, Zu-yi,ZHENG, Xiang-mi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지형지모는 구조 과정(tectonism) 및 지표 과정(surface processes) 등과의 상호경쟁 결과이다. 고지형을 재건하고 지형 변화를 연구하는 것은 이러한 과정 그리고 상호작용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전통적인 지형지모 변화 관련 연구는 14 C, 발광(luminescence), 지자기층서학(magnetostratigraphy) 등 연대 측정법에 기반하였고 구조 활동 및 지표 침식이 지형지모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정성적 및 반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관련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저온 열연대기(low-temperature thermochronology)는 구조지질학 영역의 조산대 구조-열변화 이력(thermal evolution history) 연구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지형지모 변화 이력 재건에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아래 저온 열연대기 기본 원리를 소개하였고 자체 연구와 결합하여 지형지모 발달 시간, 고지형 역해석 등 분야에서 저온 열연대기를 이용한 연구 현황 그리고 연구에서 주의를 기울여야 할 부분을 지적하였다. 논문의 마지막에 더 낮은 폐쇄 온도를 가진 저온 열연대기 연대 측정 시스템은 본 분야 연구에서 노력할 방향이라고 지적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452158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tectonism,climate,surface erosion,exhumation rate,topography and geomorphology,구조,기후,지표 침식,삭반,지형지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