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Production of Pig Induced Pluripotene Stem Cell(iPSC) Chimeric Embryo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農業生物技術學報 = Journal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ISSN 1674-796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Gao, Xing,Ma, Yangyang,Cheng, De,Ma, Xiaoling,Wang, Huay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돼지 유도다능성 줄기세포(Pig induced pluripotene stem cells, iPS)는 자가 갱신과 다중 계통 분화기능을 가지고 있는 의학 및 세포생물학 연구의 이상적인 소재이다. 돼지 iPS세포의 수정란 단위생식 기능을 탐구하기 위하여 본 실험에서는 piggyBac 트랜스포슨 시스템(Transposon system)의 PB[Act-RFP]DS와 Act-PBase벡터를 이용하여 돼지 iPS세포를 트랜스펙션하여 빨간색 형광 표시를 띠고 있는 돼지 iPS세포주 PS24-R를 얻었다. 동시에 마이크로 주입법을 통하여 공여세포 PS24-R를 4~8 세포 단계의 배아장소(실)에 주입하였고 단위생식 수정란을 생성하고 계속 발육시켜 포배 단계까지 기다렸다가 PS24-R세포가 배아에서의 단위생식 상황을 통계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트랜스포슨 시스템 piggyBac를 통하여 표시한 돼지 PS24-R세포는 안정적으로 붉은 형광을 발현하는 세포로 되었고 이를 공여세포로 하여 돼지 단위생식 수정란을 생성하면 iPS세포가 배아에서의 단위생식 상황을 효과적으로 관찰 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1, 5 및 10개의 돼지 PS24-R세포와 1개 돼지 PS24-R세포덩이를 각각 돼지 배아에 주입하여 단위생식 수정란을 구축하였고 돼지 iPS세포 주입 수량이 증가할수록 주입 배아의 포배율은 점차 감소되었으나 단위생식 비율은 점차 증가하였다. 동시에 키메라 수정란(chimeric embryos pluripotent genes)과 비교하여 단위생식 수정란(parthenogenetic embryos genes)의 다능성 유전자 OCT4, SOX2와 NANOG의 발현을 현저하게 제고하였다. 이로부터 piggyBac 트랜스포슨을 이용하여 표시한 돼지 PS24-R세포는 돼지 초기 배아 발달 단계에서 단위생식을 실현할 수 있고 iPS세포 단위생식 돼지의 생산을 위하여 기본 자료를 제공하였음을 알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242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orcine,Induced pluripotene stem cell(iPSC),Parthenogenetic embryo,PiggyBac transposon,Chimeric embryo,돼지,유도다능성 줄기세포(iPS),단위생식 수정란,piggyBac 트랜스포슨,키메라 수정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