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stablishing of the Optimization of Mouse(Mus musculus) STO Cell Lines Reprogram to Pluripotent Stem Cell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農業生物技術學報 = Journal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ISSN 1674-796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Quan, Fusheng,Liu, Qin,Wu, Yuehong,Wu, Haibo,Zhang, Y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마우스 배아 섬유 아세포계 STO(SIM-6-thiogunanie-oualiain)를 다기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STO-iPSCs)로의 유도를 연구한다. 인산 칼슘 방법으로 Oct4、Sox2、Klf4와c-Myc가 있는 4개 전사 인자의 렌티 바이러스 벡터 FUW-OSKM을 연결하여 293FT 세포 패키징 바이러스를 형질 주입한 다음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STO세포를 감염시켜 줄기 세포의 배양 조건으로 배양한다. 15일간 클론을 골라서 배양보조세포층(feeder layer)이 있는 배양 시스템과 배양보조세포층이 없는 배양 시스템에서 배양한다. 획득한 STO-iPSCs에 대하여 생물학적 분석을 하였고 전형적인 배아 줄기 세포의 형태 특성을 가졌으며 알칼리성 포스파타아제 착색은 양성을 띤다. qPCR 결과는 발현이 매우 높은 원종양유전자(proto-oncogene) Nanog과 Oct4 mRNAs를 표시하고 면역 세포 화학(immunocytochemistry)은 배야 줄기세포 발현 특정 마커 Nanog과 Oct4를 표시하고 초기분화(in vitro differentiation) 를 신경 세포로 할 수 있음을 표시한다. 실험은 STO-iPSCs를 얻었고 STO-iPSCs 배양보조세포층이 없는 배양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240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Lentivirus vector,SIM-6-thiogunanie-oualiain (STO) cells,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iPSCs),Embryonic stem cells,렌티바이러스 운반체,STO세포,유도 다기능성 줄기 세포(iPSCs),배아 줄기 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