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onstruction of a banker plant system for Diaeretiella rapae and its control efficiency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環境昆蟲學報 = Journal of environmental entomology
ISSN 1674-085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SHEN, Jia-wei,CAI, You-jun,ZHANG, Wen-q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뱅커 플랜트 시스템(banker plant system)은 최근 발전하기 시작한 새로운 생물학적 방제(biological control) 기술이다. 본 논문은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 양배추가루진딧물(Brevicoryne brassicae, Linnaeus)과 아카시아진딧물(Aphis craccivora)을 후보 대체숙주(alternate host)로 하고 담배, 옥수수, 상추, 양배추, 잠두와 배추(Brassica campestris L.)를 후보 뱅커 플랜트 식물로 사용하여 여러 차례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가루진디벌(Diaeretiella rapae)의 대체숙주를 복숭아혹진딧물로 하고 뱅커 플랜트를 담배로 했을 때 그 효과가 가장 양호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벌(♀)과 진딧물 간의 적합한 비례(1:100)를 확인하고 시작 복숭아혹진딧물의 수량을 2,000마리/주로 설정하여 뱅커 플랜트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해당 시스템은 28일 동안에 총 2,770마리의 진딧물을 생성하였는데, 그 우화율(eclosion rate)이 83.33%에 달했다. 무우테두리진딧물(Lipaphis erysimi)이 100마리 있는 배추에 뱅커 플랜트 시스템의 번식을 통하여 얻은 1마리의 암컷 가루진디벌을 접근시킨 후 자유롭게 번식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24시간 후 가루진디벌을 다른 곳에 옮겨놓았다. 이때 그가 표적 해충인 무우테두리진딧물에 대한 기생률이 71.17%에 달했다. 온실 1 m×1 m×1 m의 백색 그물가두리(Net cage)에 배추를 15포기 넣은 후, 매 포기의 배추에 무우테두리진딧물을 각각 20마리씩 접근시켰다. 자유롭게 15일 번식시킨 후 1주의 가루진디벌 뱅커 플랜드 시스템에 넣었다. 7일과 14일 지났을 때 무우테두리진딧물의 감퇴 비율(Decline rate)이 각각 83.11%와 95.80%이었다. 이 결론은 가루진디벌 뱅커 플랜트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량의 가루진디벌을 생성할 수 있으며, 온실에서 무우테두리진딧물에 의한 피해를 성공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03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anker plant system,Diaeretiella rapae,Lipaphis erysimi,Myzus persicae,tobacco,biological control,뱅커 플랜트 시스템,가루진디벌,무우테두리진딧물,복숭아혹진딧물,담배,생물학적 방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