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onversion of phosphorus to phosphine by microbial deoxidization under anaerobic condition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生物學通報 = Microbiology
ISSN 0253-265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Jin-feng,NIU, Xiao-jun,MA, Jin-ling,LU, Mei-q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목적] 포스핀(Phosphine)은 인(Phosphorus)의 기체 형태(gaseous form)로서 폐수(wastewater)에서 포스핀으로 전환하는 방법으로, 인을 제거하며 이는 폐수에서 인을 제거하는 데 대해 새로운 아이디어(ideas)를 제공하였다. [방법] 혐기성 지속 배양(anaerobic continuous cultivation) 방법을 사용하고 포스핀 처리를 거친 논 토양(paddy soil)과 포스핀 처리를 거치지 않은 논 토양을 접종물(inoculum)로 하여 산화환원전위(ORP, oxidation reduction potential)가 ≤-300mV, 항온(constant temperature)이 35°C, 어두운 환경 조건에서 160d 동안 지속해서 배양하였다. [결과] 인큐베이터(incubator) 1, 유출액(effluent)에서 전체 인 제거(total phosphorus removal) 효율은 안정적으로 25%를 달성하고, 가장 높은 제거 효율은 26.78%이며 기체 포스핀의 생산량은 130ng/L 이상에 도달하였다. 인큐베이터 2, 유출액에서 전체 인 제거 효율은 23%를 달성하고 기체 포스핀의 생산량은 126ng/L에 도달하였다. [결론] 논 토양에 대해 혐기성 조건에서 연속적 배양을 진행하여 혐기성 조건에서 포스핀을 생성하는 안정한 미생물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고 포스핀의 방출량을 높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574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naerobic phosphate removal,Phosphine,PCR-DGGE,혐기성 인산염 제거,포스핀,PCR-DG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