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Molecular identification of a green type of Gracilaria vermiculophyll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海洋學學報 = Journal of applied oceanography
ISSN 2095-497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ONG, Chen-hui,HUANG, Rui-fang,LIN, Qi,ZHENG, Ya-you,LI, Lei-bin,LIU, B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rDNA-ITS와 미토콘드리아 cox1 조각의 증폭 서열을 이용하여 샤먼(Xiamen) 싱린만(Xinglin Bay)에 있는 2주(strain)의 녹색을 띤 미확인 꼬시래기[Gracilariasp.; 4분포자체 GR-1과 자성배우체(female gametophyte) GR-2]와 2주 자갈색의 꼬물꼬시래기(G.vermiculophylla; 4분포자체 PU-1과 자성배우체 PU-2)를 분석하였다. MEGA5.0을 이용하여 4개 실험용 샘플과 GenBank에서 유사도가 가장 높은 서열의 유전적 거리를 추정하였으며, 계통발육수를 구축하였다. ITS 서열 분석 결과, 녹색의 확인되지 않은 꼬시래기 GR-1, GR-2는 모두 꼬물꼬시래기와 한데 무리지어 있었다. 이로부터 양자와 꼬물꼬시래기의 친연관계가 매우 가깝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었다. cox1 조각 서열 분석 결과, 녹색의 확인되지 않은 꼬시래기 GR-1, GR-2와 자갈색의 꼬물꼬시래기 PU-1, PU-2는 모두 색인(index)된 꼬물꼬시래기와 같은 군집에 무리지어 있었다. 그 중 GR-1, GR-2와 꼬물꼬시래기 JQ619142, JQ619143의 유사도는 100%였으며, 그것들 사이의 유전적 거리 범위는 0.000~0.002이었고 개체군 내부의 유전적 거리 범위 0.000~0.015보다 낮았으며, 분자 수준으로부터 녹색의 확인되지 않은 꼬시래기가 꼬물꼬시래기라는 것을 확정하였다. ITS와 cox1 조각 서열을 결합한 분자 마커는 꼬물꼬시래기의 유전자원 감정에 적용되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5035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arine biology,Gracilaria vermiculophylla,green color,ITS,cox1,molecular identification,해양생물학,꼬물꼬시래기,녹색,ITS,cox1,분자 감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