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econdary metabolites of the co-culture of Aspergillus sp. SCSGAF 0076 and Bacillus sp. MNMCCE 001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生物學報 = Acta microbiologica Sinica
ISSN 0001-620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DONG, Jie-jie,ZHANG, Xiao-yong,BAO, Jie,XU, Xin-ya,NONG, Xu-hua,QI, Shu-hua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목적】해양 진균 Aspergillus sp. SCSGAF 0076과 세균 Bacillus sp. MNMCCE 001을 평판에서 공생배양한 후, 생성된 주요한 항균물질과 적색 색소의 화학적 구조를 규명하고자 한다. 【기법】녹말 고체 배지에서 각각 Aspergillus sp. SCSGAF 0076을 순수배양, SCSGAF 0076과 Bacillus sp. MNMCCE 001을 공생배양하였다. 3일 동안 배양한 후, 순수배양과 공생배양 배지에 대한 추출, 농축처리를 통하여 추출물을 얻었으며,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efficiency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순수배양과 공생배양으로 얻은 추출액 내 화학성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항균 활성 추적법을 이용하고, 실리카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젤 칼럼 그로마토그래피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등 분리기법을 결합하여 공생배양 추출물에서 항균물질과 적색 색소를 분리하고 정제하였으며, 스펙트럼 해석법을 이용하여 화합물의 구조를 감정하였다. 【결과】고성능 액체 크로마코그래피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공생배양과 순수배양으로 얻은 주요한 이차 대사산물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항균물질과 적색 색소의 함량은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해당 두 균주로 공생배양 한 발효산물에서 항균물질 페니실린산(penicillic acid)(1), 페니실린산 유사물질 5(6)-dihydropenicillic acid(2), 9-chloro-8-hydroxy-8,9-deoxyasperlactone(3), 적색 색소 viopurpurin(4)을 포함한 4가지 화합물을 분리하고 감정하였다. 【결론】Aspergillus sp. SCSGAF 0076과 Bacillus sp. MNMCCE 001을 공생배양하였을 때 Aspergillus sp. SCSGAF 0076에서 항균 활성을 갖춘 화합물-페니실린산이 생성되고 적색 색소-viopurpurin이 뚜렷하게 증가되며, 양자의 생성율이 Aspergillus sp. SCSGAF 0076을 순수배양을 하였을 때 보다 높다는 것을 초보적으로 규명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411850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fungus Aspergillus sp.,bacterium Bacillus sp.,co-culture,antibacterial activity,penicillic acid,redpigment,진균 Aspergillus sp.,세균 Bacillus sp.,공생배양,항균,페니실린산,적색 색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