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soil moisture content on morphological and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Leymus chinensis and Medicago sativ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YU, Xiao-na,ZHAO, Jie,QI, Yu,HUANG, Yong-mei,GONG, Ji-ru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인공제어 실험을 이용하여 12%(T1), 16%(T2) 및 20%(T3) 등 3가지 수분 조건에서 양초(Leymus chinensis)와 자주개자리(Medicago sativa)의 순광합성속도 Pn, 실제광화학적 양자효율 Ф PSⅡ , 광화학적 소멸 qP, 비광화학적 소멸 qN, 수분이용효율 WUE, 식물체 높이, 분지수와 분얼수, 바이오매스 등 매개변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험 범위에서, (1) Ф PSⅡ 와 qP는 공동으로 순광합성속도에 영향을 미치고 양초와 자주개자리의 순광합성속도의 토양 수분에 대한 반응은 서로 달랐으며, 자주개자의 토양 수분 생태폭은 양초보다 좁았다. 양초 성장의 최적 토양 함수량은 20%이며 토양 함수량의 감소에 따라 순광합성속도는 단조로운 감소 추세를 나타냈다. 자주개자리의 최적 토양 함수량은 16%이며 순광합성속도는 토양 함수량과 비선형관계를 나타내고 뚜렷한 임계값이 존재했다. (2) 적합한 토양 함수량은 양초와 자주개자리의 식물체 높이과 분지 분얼의 성장에 유리했다. (3) 토양 수분이 적합한 토양 함수량의 범위보다 낮을 때, 양초와 자주개자는 비슷한 반응 메커니즘을 가지며 모두 근계 바이오매스를 증가하여 환경 스트레스에 적응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12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net photosynthesis rate,chlorophyll fluorescence,biomass,soil moisture conten,순광합성 속도,엽록소 형광,바이오매스,토양 함수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