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of chlorophyll fuorescent assay in detecting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in the East China Sea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海洋科學 = Marine science |
ISSN | 1000-3096, |
ISBN |
저자(한글) | SHA, Xiang-yu,QI, Hong-ju,WANG, Zhao-yu,TAN, Li-ju,WANG, Jiang-tao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2011년 6월 10일~6월 27일까지 동중국해(East China Sea)의 적조(red tide)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 PSⅡ 최대 광화학적 양자 수율(F v /F m )의 평면 분포를 조사한 결과, 동중국해의 적조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 F v /F m 의 평면 분포와 엽록소의 평면 분포는 비교적 일치하였다. 현장에서 영양염을 부영양화 배양하는 방법으로 서로 다른 부영양화 원소를 첨가한 후 F v /F m 의 변화를 연구하는 것을 통하여 2개 관측 기지의 식물플랑크톤(phytoplankton)에 대하여 제한 작용을 하는 원소를 연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으로 연구한 결과, 동중국해의 DH2-3 관측 기지와 DH6-2 관측 기지의 식물프랑크톤은 질소(nitrogen, N)의 잠재적 제한을 받았다. F v /F m 의 변화를 통하여 조류(algae) 세포의 실제적인 생리 활성을 반영할 수 있었으며, 또한 영양염이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작용을 더욱 실제적으로 반영할 수 있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9040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East China Sea,lagre-scale,F lt,sub gt,v lt,/sub gt,/F lt,sub gt,m lt,/sub gt,. 동중국해,대면적,F lt,sub gt,v lt,/sub gt,/F lt,sub gt,m lt,/sub g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