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egulation of different calcium forms on the photosynthesis of tomato leaves under heat stres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生態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cology
ISSN 1001-933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QI, Hong-yan,WANG, Dan,QI, Ming-fang,LIU, Yu-feng,HE, Yu,LI, Tian-la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고온 스트레스 조건에서 '랴오위안둬리(Liaoyuanduoli)' 토마토 유묘에 염화칼슘(CaCl 2 ), 나노 칼슘(Nano-Ca) 및 만니톨 칼슘(Mannitol-Ca)을 각각 분사한 다음, 다양한 형태의 칼슘 처리가 고온 스트레스를 받는 토마토 잎사귀의 광합성 작용에 대한 조절 작용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형태의 칼슘 처리는 모두 고온 스트레스로 인한 잎사귀 내 엽록소 a 및 카로테노이드 함량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잎사귀의 순광합성 속도(net photosynthesis rate, P n )를 뚜렷하게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증산속도(transpiration rate, T r ) 및 기공전도도(stomatal conductance, g s )도 증가시켰다. 그리고 PSII 비조절성 에너지 소산의 양자 수득률[Y(NO)] 및 수용체 측 제한(acceptor side limitation)으로 일어나는 PSI 비광화학적 에너지 소산의 양자 수득률[Y(NA)]을 감소시킨 반면, PSII 조절성 에너지 소산의 양자 수득률[Y(NPQ)] 및 공여체 측 제한(donor side limitation)으로 일어나는 비광화학적 에너지 소산의 양자 수득률[Y(ND)]를 증가시켰다. 그 외, 잎사귀 내 칼슘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전반적으로 만니톨 칼슘 및 나노 칼슘의 처리는 CaCl 2 의 처리보다 더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CaCl 2 에 비하여, 만니톨 칼슘 및 나노 칼슘은 고온 스트레스를 받는 토마토 잎사귀의 광합성 작용을 향상시키는데 더 효과적인 칼슘제제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518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tomato,heat stress,photosynthesis,mannitol-calcium,nano-calcium,CaCl2,토마토,고온 스트레스,광합성 작용,만니톨 칼슘,나노 칼슘,염화칼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