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otal Nitrogen Concentration and Pedogenic Function of Bryophyte Crust in Typical Vegetations in Upstream of Chishui River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植物硏究 = Bulletin of botanical research
ISSN 1673-510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Deng-fu,ZHANG, Chao-hu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츠수이허 강(Chishui river) 상류의 전형적 식생 중 선택 식물 종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날개양털이끼(Brachythecium plumosum), Entodon dolichocucullatus, 황갈털깃털이끼(Hypnum fujiyamae), Claopodium rugulosifolium과 Campylopus subfragilis 5가지 가피(crust)가 있는 선태식물을 선택하여 토양 생성 기능과 총 질소 농도 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1) 선태식물은 14과 18속 26종(변종, 아종 포함)이 있으며, 이끼류 식물이 우세를 차지하였다. (2) 바이오매스는 0.40-36.80 g·m -2 , 토양 생성량은 9.60-249.20 g·m -2 이며, 황갈털깃털이끼의 바이오매스와 토양 생성량은 기타 가피가 있는 선택식물에 비해 높았고, 사암 및 혈암(sandstone and shale) 지역의 수토 유실을 관리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었다. (3) 식물 총 질소(TN) 농도는 1.20%-1.87%, 토양 TN 농도는 0.07%-0.50%이었으며, TN 농도는 황갈털깃털이끼-토양에서 가장 높았고, Campylopus subfragilis-토양에서 가장 낮았다. TN 농도는 해발이 높아짐에 따라 먼저 증가하고 후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4) 상관성 분석 결과, 식물과 토양 TN 농도 차이는 컸으며, 최대 차이 배수는 약 17.14배이다. 그러나 양자는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식물과 토양 TN 농도 특성을 탐구하여, 해당 지역의 생물 지구화학 작용 연구에 기초를 마련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081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upstream of Chishui river,typical vegetations,bryophyte crust,pedogenic function,TN concentration,츠수이허 강 상류,전형적 식생,가피가 있는 선태,토양 생성 기능,TN 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