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llelopathic effect of extracts from Pinus massoniana rhizosphere soil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DUAN, Jian,YANG, Jie,KANG, Jin-lin,YU, Chi-fang,TU, An-gu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하층 식생의 희소성 및 분포 단일성은 적색토 지역의 마미송(Pinus massoniana) 하층목의 수토 유실을 초래하는 주요한 원인이며, 임목의 타감작용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는 마미송과 풍향수(Liquidambar formosana Hance)를 연구대상으로, 생물학적 검출 등 기술 수단을 통하여, 근권토양 추출물이 우산잔디(Cynodon dactylon), 토끼풀(Trifolium repens), 바히아그래스(Paspalum notatum), 새포아풀(Poa annua)에 대한 타감작용 유형 및 강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1, 0.5, 0.25 mg·m L -1 등 3가지 농도조건에서 마미송 근권토양 추출물은 해당 4가지 수용체 식물의 타감작용을 억제하는 뚜렷한 종합 효과를 나타냈으며, 농도가 0.5, 0.25 mg·m L -1 일 때, 풍향수 근권토양 추출물도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나, 해당 억제 효과는 마미송 근권토양에 비해 약하였으며, 1 mg·m L -1 농도조건에서 일정한 촉진작용을 나타냈다. (2) 마미송 근권토양 추출물에는 주요하게 뚜렷하지 않은 농도 효과(우산잔디)와 농도의 증가에 따라 강화되는 억제 효과(토끼풀, 바히아그래스, 새포아풀) 등 2가지 유형이 포함되었으나, 풍향수 근권토양 추출물에는 주요하게 약한 정도의 촉진과 강한 정도의 억제(우산잔디), 강한 정도의 촉진과 약한 정도의 억제(토기풀, 새포아풀), 농도의 증가에 따라 강화되는 억제효과(바히아그래스) 등 3가지 유형이 포함되었다. 그러므로 타감작용의 관점으로부터 마미송 단순림과 혼효림 하층 식생의 조성과 분포 차이의 형성 원인을 연구함으로써, 마미송 하층 식생의 결핍 및 단일한 분포 현황을 해석, 삼림 구조 형태를 개조, 토양 침식을 억제하는데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10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llelopathy,root exudates,Pinus massoniana,rhizosphere soil,타감작용,근계 분비물,마미송,근권토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