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High-level Heterogenous Expression of a Hyperthermophilic Esterase in Different Host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生物工程雜誌 = Journal of Chinese biotechnology
ISSN 1671-813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UO, Man-jie,XIE, Yuan,QIAN, Zhi-gang,FENG, Yan,YANG, Guang-y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초호열성 고세균 Alicyclobacillus acidocaldarius에서 생성된 에스테라아제 EST2는 현재까지 활성이 가장 높은 초호열성 에스테라아제로써 공업적 응용 가치가 매우 크다. EST2의 생산과 응용을 촉진하기 위해 대장간균과 피치아 효모에서 EST2를 각각 이형 발현시켰다. 그리고 서로 다른 숙주가 EST2의 발현 상황과 재조합 효소학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장간균(Echerichia coli)과 피치아효모(Pichia pastoris)에서 재조합 발현된 EST2의 효소학 성질은 기본적으로 일치하였다: 최적 온도가 각각 75 ℃, 77.5 ℃이고 최적 pH가 모두 8.0이었으며, 비활성도가 각각 4,656.6 U/mg과 4,078.3 U/mg이었다. 70 ℃ 수온으로 4.5시간 보온했을 때 남은 활성이 모두 70% 이상이었다. 진탕 발효 후, 5 L 발효 탱크에서 재조합 대장간균과 피치아 효모의 고밀도 발효(High cell-density fermentation)를 수행하였다. 피치아 효모를 120시간 고밀도 발효했을 때 균체의 건조 중량이 68 g/L에 달했으며, 발현 효소의 최대 활성이 959.6 U/ml이었다. 대장간균을 25시간 고밀도 발효했을 때 건조 중량이 60.8 g/L에 달했으며, 발현 효소의 최대 활성이 14825.6 U/ml이었다. 발현량은 피치아 효모의 15.4배이고 단위 시간의 생산량은 효모의 74.2배이었다. 실험 결과, 대장간균은 발효 주기가 짧고 발현량이 높으며 호열성 에스테라아제 EST2의 고효율적 생산에 더욱 적합하다. 이 결론은 공업의 바이오 기술 산업에서 호열성 에스테라아제의 응용을 촉진하는데 기반을 마련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48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Thermophilic Esterase 2,Heterologous expression,High cell-density fermentation,Echerichia coli,Pichia pastoris,호열성 에스테라아제,이형 발현,고밀도 발효,대장간균,피치아 효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