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QIU, Xian-jin,YUAN, Zhi-hua,HE, Wen-jing,LIU, Huan,XU, Jian-long,XING, Dan-ying |
초록 |
벼(Oryza sativa L.)의 백색 불투명(chalkiness) 품질은 백색 불투명율(percentage of chalkiness) 및 백색 불투명도(degree of chalkiness)와 관련성이 있는 중요한 외관 품질로서 기타 품질 형질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벼 백색 불투명 형질의 유전적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최근에 벼 기능 유전체학과 분자 표지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더욱 많은 벼의 백색 불투명과 관련된 유전자를 클론하여 얻었다. 본 논문은 벼 백색 불투명 평가 지표, 기타 품질 형질과의 관계, 유전적 기초, 백색 불투명 관련 양적 형질 위치(quantitative trait locus, QTL) 확정 및 백색 불투명 관련 유전자 클론에 대하여 종합하여 서술하였으며, 우성 세포핵 유전자 웅성 불임 계통(dominant genic male-sterility line)에 근거한 순환 선택(recurrent selection) 방법으로 벼의 백색 불투명 품질 개선 분자 육종 전략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벼 부투명 형질에 대한 분자적 개량에 참고 및 참조적 가치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