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Civil Aircraft Elastic Structure Ditching Test Load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航空學報 = Acta aeronautica et astronautica sinica |
ISSN | 1000-6893, |
ISBN |
저자(한글) | XU, Wen-min,LI, Kai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강체 모델과 탄성 모델의 하중 전이 방식은 다르다. 본 논문에서는 강체 모델과 탄성 모델이 수면불시착(ditching)하는 항공기의 하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동적 상사성(dynamic similarity) 원리에 근거하여 강체 모델을 설계 및 제조하였으며 또한 강도 상사성 원리에 근거하여 탄성 구조 부품을 설계 및 제조하였다. 그리고 에어백 하중 시험 시스템을 통하여 탄성 구조 부품이 강도 상사성의 설계 요구에 적합한지를 검증하였다. 그 외, 수면불치착 모델 시험을 통하여 가속도-시간 이력 곡선(acceleration-time history curves)을 확보하였으며 또한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으로 시험 데이터를 처리하여 가속도 피크 값을 확보하였다. 강체 모델의 시험 데이터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 항공기가 초기 피치각이 12°이고 플랩이 착륙외장형상(Flaps for landing configuration)이며 작은 하강 속도 및 중간 중심(middle center) 상태등으로 입수할 경우, 항공기가 수면불시착 과정에서 받는 하중은 비교적 작았다. 연구 결과, 탄성 구조물을 가진 모델과 강체 모델로 얻은 항공기의 하중은 뚜려한 차이를 보였으며 탄성 구조물을 가진 모델로 얻은 수직 가속도의 피크 값은 강체 모델로 얻은 값보다 훨씬 더 낮았다. 이런 현상은 주로 기체 하부 탄성 구조물의 변형으로 인해 대량의 에너지가 흡수되었기 때문이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015940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ditching,dynamic models,Froude number,similarity,elastic structure,civil aircraft,수면불시착,동역학 모델,프루드 수,유사성,탄성 구조,민간항공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