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sunshine duration and its impact factors in Dongting Lake area during 1960-2012.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HUANG, Ju-mei,LAI, Ding-mei,XIANG, Tao,ZHANG, Jian-m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은 1960~2012년 중국 둥팅호(Dongting Lake) 지역 24개 기상 기지의 기후 자료를 근거로 하였다. 그리고 선형 추세 분석(linear trend analysis), Mann-Kendall 변화 분석, 웨이브렛 분석(wavelet analysis),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등 방법을 이용하여 둥팅호 지역의 최근 52년 일조 시간(sunshine hours) 변화 특성 및 영양 요인(impact factor)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 둥팅호 지역의 일조 시간은 46.0시간/10년의 속도로 뚜렷하게 감소되었는데 여름철의 일조 시간 감소는 제일 뚜렷하였고(29.5시간/10년), 그다음으로 겨울철의 일조 시간 감소가 뚜렷하였으며(14.6시간/10년), 봄철과 가을철의 일조 시간은 뚜렷하게 변화되지 않았다. 중국 후베이 북부 지역의 일조 시간 감소 속도는 남부 지역보다 뚜렷하였는데 그 가운데서 서북부 젠리(Jianli) 지역의 일조 시간 감소율은 제일 큰 것으로 97.8시간/10년에 도달하였다. 연간 일조 시간은 1980년에 돌발적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20세기 60년대, 70년대에 일조 시간이 길었고, 80년대부터 일조 시간이 짧았으며, 연간 일조 시간의 변화 주기는 2년, 6년, 10~11년이었다. 중국 둥팅호 지역의 일조 시간의 감소는 아마도 구름량(cloud amount), 강수량(precipitation), 안개 일수(foggy days)의 증가 및 바람 속도의 감소(wind speed)와 관련성이 있을 것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585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unshine hours,spatiotemporal variation,impact factor,Dongting Lake,일조 시간,시공간 변화,영향 요인,둥팅호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