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haracteristics of spatial and temporal phenology under the dynamic variation of grassland in the Qinghai Lake watershed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Guang-yong,LI, Xiao-yan,ZHAO, Guo-qin,ZHANG, Zhi-hua,LI, Yue-t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식생의 생물계절(phenology)은 기후 변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기후 변화에도 반영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식생 생물계절학적 기후 변화 추진 메커니즘을 확인하는 것은 기후 변화와 생물계절학의 상호작용을 한층 더 연구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칭짱 고원(Qinghai-Tibet Plateau) 동북부에 위치한 칭하이호(Qinghai Lake) 유역을 선택하고 MODIS 16d EVI(Enhanced Vegetation Index) 합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지의 생물계절학적 시공간 패턴 특성 및 다양한 EVI max 변화 추세에 따른 초지 생물계절(녹색화 단계, 시들음 단계, 생장계절)의 변화 추세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기후 변화와 인류 활동 등 요소의 공동작용으로 인하여, 칭하이호 유역의 EVI max 변화는 다양한 추세를 나타냈다. 즉 EVI max 의 증가 추세, 안정화 추세, 감소 추세가 동시에 존재하였다. (2)1990-2012년에 유역 내 온도의 상승 추세와 강수량의 증가 추세는 뚜렷하였으며 온도 상승 속도는 0.42-0.83℃/10a, 강수량 증가 속도는 43.20-44.68 mm/10a였다. 강차(Gangcha), 톈쥔(Tianjun) 기상기지 내 초지의 녹색화 단계는 2001-2012년에 지연되는 추세를 보였으며 시들음 단계의 변화 추세는 뚜렷하지 않았으며 생장계절은 짧아졌다. (3)유역 내 초지의 녹색화 단계는 4월 하순부터 6월 상순까지 지속되었으며 시들음 단계는 8월 중순부터 10월 상순까지 지속되었다. 칭하이호 동부 연안, 남부 연안, 호수에 유입되는 부하강(Buha River) 입구지역 및 유역의 서부 산비탈과 평탄한 골짜기 지역의 목초가 가장 일찍 녹색화 단계에 진입하였으며 녹색화 단계의 공간 패턴은 호수 연안으로부터 주위의 고해발 지역으로 확장하는 추세를 보였다. 초지 시들음 단계의 공간 패턴은 녹색화 단계와 반대였다. (4)다양한 EVI max 변화 추세에 따른 초지의 녹색화 단계, 시들음 단계, 생장계절의 변화 추세는 차이가 있었다. 초지 EVI max 가 감소 추세를 보일 때, 목초의 녹색화 단계는 앞당겨 나타났고 시들음 단계는 지연되었으며 생장계절은 길어졌다. EVI max 가 증가 추세를 보일 때, 목초의 녹색화 단계는 지연되었고 시들음 단계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며 생장계절은 짧아졌다. EVI max 가 안정화 추세를 보일 때, 농경지의 녹색화 단계와 시들음 단계의 변화 추세는 뚜렷하지 않았으나 농경지 생장계절은 뚜렷하게 짧아졌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606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henology,grassland,spatial and temporal patterns,EVI,the Qinghai Lake watershed,생물계절,초지,시공간 패턴,EVI,칭하이호 유역